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약용 생물자원 활용 정보
약용 생물자원 생산 가공 정보
- 약용 생물자원 생산 가공 정보
데이터 상품 정보 |
---|
1. 상품 설명 및 특징
- 약용 생물자원의 채취시기, 가공, 포제에 대한 정보입니다.
2. 컬럼(속성) 정보
- 약재아이디(KRMC_SFRMD_ID): 약재의 일련번호
- 약재라틴명(KRMC_SFRMD_LATN_NM): 약재의 라틴명 또는 생약명
- 약재영문명(KRMC_SFRMD_ENGLS_NM): 약재의 일반 영문명
- 약재한글명(KRMC_SFRMD_KRN_NM): 약재의 한글 이름
- 약재한자명(KRMC_SFRMD_CHCHR_NM): 약재의 한자 이름
- 약재이명(KRMC_SFRMD_SNNM): 약재에 대한 다른 이름들
- 약재약용부위(KRMC_SFRMD_MDCNL_RGN_NM): 약용 생물자원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부위
- 약재학명(KRMC_SFRMD_SCNM): 약용 생물자원의 학명(binomial nomenclature)
- 채취일시(PCKNG_DTM): 약용 생물자원의 채취 시기
- 기초가공내용(BSIS_PRCSS_CONT): 약용 생물자원의 기초 가공 방법
- 포제방법(PROC_MTHOD): 약용 생물자원의 포제 방법
- 포제성상설명(PROC_PHSNY_DSCRT): 약용 생물자원의 포제성상 설명
- 포제목적(PROC_PRPS): 약용 생물자원의 포제 목적
- 날짜(LDNG_DT): 데이터 적재일 (샘플에는 날짜 컬럼이 없습니다.)
3. 활용 주의
상품 데이터는 UTF-8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UTF-8 포맷으로 열어야 합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을 클릭해서 열 경우 글자가 깨지기 때문에 엑셀에서 파일을 열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 엑셀을 실행한다.
- 엑셀의 데이터탭 -> 외부데이터가져오기에서 텍스트 클릭
- 열고자 하는 csv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클릭
- 텍스트 마법사에서 구분 기호로 분리됨과 유니코드(UTF-8)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구분기호에서 탭 해제하고 쉼표 선택하고 다음 클릭
- 마침 클릭
- 기존 워크시트 또는 새 워크시트 선택하고 확인 클릭
|
데이터 키워드 |
---|
약용 생물자원, 약재, 생산, 가공, 포제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한국한의학연구원 | 2020-10-30 | 2021-11-26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1년 | csv/zip | 다운로드 | 222.00 KB |
한의약재ID | 한의약재라틴명 | 한의약재영문명 | 한의약재한글명 | 한의약재한자명 | 한의약재이명 | 한의약재약용부위명 | 한의약재학명 | 채취일시 | 기초가공내용 | 포제방법 | 포제성상설명 | 포제목적 |
1 | Acanthopanacis Cortex | Acanthopanax Root Bark | 오가피 | 五加皮 | 뿌리껍질(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줄기껍질(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ssiliflorum</i> Seeman 또는 기타 동속식물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껍질 및 줄기껍질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뿌리를 채취 | 줄기껍질 또는 뿌리껍질을 벗겨 겉껍질을 다듬어버리고 해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세절(細切)하여 사용한다. | |||
2 | Acanthopanacis Senticosi Radix Et Rhizoma | 자오가 | 刺五加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가시오갈피나무 <i>Acanthopanax senticosus</i> Harms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 | 물에 씻고 해볕에 말린다. | |||||
3 | Achyranthis Radix | Achyranthes Root | 우슬 | 牛膝 | 뿌리 | 이 약은 쇠무릎 <i>Achyranthes japonica</i> Nakai 또는 우슬 (牛膝) <i>Achyranthes bidentata</i> Blume(비름과 Amaranthaceae)의 뿌리이다. | 겨울철에 줄기와 잎이 시들었을 때 채취 | 수염뿌리와 흙모래를 제거하고 한 줌씩 묶어 쭈글쭈글해질 때까지 햇볕에 말린 다음, 끝부분을 가지런히 잘라 해볕에 말린다. | 牛膝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蘆頭를 잘라내고 물에 1~2시간 담그어 60~70% 정도 수분이 흡수되면 꺼내어 흙을 깨끗이 씻어, 8~12시간 정도 밀폐하여 축인 후 內外濕度가 일치하면 小段(1~1.5mm)으로 썰어 햇볕 또는 低溫에서 건조.<br/>酒牛膝 : 牛膝段에 일정량의 黃酒를 고루 뿌려 1~2 시간 밀폐하여 축인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표면이 약간 진하게 변색되도록 炒乾하여 서늘한 그늘진 곳에 널어 건조.(牛膝段 100kg당 黃酒 10kg)<br/>鹽牛膝 : 牛膝段에 鹽水를 고루 잘 섞어 밀폐하여 鹽水가 모두 흡수되게 축인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炒乾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곳에 널어 건조.(牛膝片 100kg 당 食鹽 2kg). | 牛膝 : 원형에 가까운 小段으로 길이는 1~1.5mm이고 지름은 굵거나 가늘고 일정하지 않다. 표면은 황백색 또는 회황색이며, 斷面은 편평하면서 半透明狀으로 中心部는 황백색의 小木心이 있고 그 주위에는 다수의 筋脈點이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2~4輪을 이루고 있다. 가장자리의 外皮에는 가늘게 세로로 주름이 져 있고 質은 단단하나 부서지기 쉽고 습기를 받으면 유연해진다. 향기는 약하고 맛은 약간 달면서 떫고, 씹으면 치아에 약간 찐득찐득하게 붙는다.<br/>酒牛膝 : 형태는 生段과 같고 표면은 연한 黃火色을 띠며 가끔 焦斑도 나타나고, 酒氣가 약간 있다.<br/>鹽牛膝 : 표면은 淡黃色을 띠며, 焦斑이 많이 나타나고, 鹽氣가 약간 있다.<br/><b>[鑑別反應]</b><br/>① 牛膝 분말 0.5g에 물 10ml를 가해서, 잠깐 끓어오르게 한 후 식혀 강하게 흔들면 지속성의 물거품이 발생한다.(saponin에 대한 실험).<br/> ② 牛膝生片 또는 분말을 넣은 시험관에 無水醋酸 0.5ml를 떨어뜨린 다음, 시험관 벽에 천천히 황산 두방울을 흘려 넣으면 접촉면이 홍갈색으로 되고 15분 후에는 상층액이 어두운 홍갈색으로 변하며 한시간 후에는 갈색으로 변한다. | 性平 味苦酸 入肝腎經. 活血祛瘀 補肝腎 强筋骨 利水通淋 引血下行 → 瘀血阻滯로 인한 月經不調, 通經, 閉經, 腰膝酸痛, 筋骨無力, 肝陽眩暈, 尿血, 小便不利 등의 증후에 적용.<br/>生品 : 活血祛瘀 引血下行하는 효능에 장점. 瘀血阻滯로 인한 月經不調, 痛經, 閉經, 癓瘕, 産後瘀阻腹痛, 陰虛陽穴, 頭目眩暈 등의 증후에 적용.<br/>酒炒 : 活血祛瘀 通經止痛하는 작용이 증강되며, 또한 補肝腎 壯腰膝의 작용도 증강. 주로 風濕痹痛, 月水不利, 臍腹作痛, 濕熱下注의 증후에 사용. 특히 下半身의 腰膝關節疼痛을 치료하는 데 장점 | |
5 | Aconiti Koreani Tuber | 백부자 | 白附子 | 관백부(關白附)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백부자 <i>Aconitum koreanum</i> Raymond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8~9월에 채취 | 물에 씻은 다음 해볕에 말리고 잔뿌리를 다듬어버린다. | 生白附子 : 原藥材에서 雜質을 골라내고 깨끗이 씻어 햇별에 건조<br/>製白附子<br/>一法<br/>淨選: 原藥材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흙이나 모래,잡질을 제거<br/>浸漂: 깨끗한 白附子에 淸水를 부어 약 2~3주일 담그되, 매일 2-3번 물을 갈아주고 며칠이 경과한 후 횐 거품(泡沫)이 일어나는 것이 보이면 白礬粉(100 :2의 비 율)을 넣고 다시 하루 동안 담그었다가 물을 갈아주되,맛을 보아 알알한 맛이 없을 때까지 한다.<br/>薑礬水浸 :신선한 薑片에다 白礬粉 과 白附子를 隔層으로 항아리에 골고루 펴 넣고 물을 藥材가 잠길 정도로 부어 약 3〜4주일 둔다.<br/>煮 製: 白附子와 물을 가마솥에 넣고 乾心이 없어질 정도로 삶아서 꺼낸다.<br/>切片과 乾燥 : 삶은 白附子에서 薑片을 제거하고 그늘에서 말리되 60% 정도 말랐을 때 밀폐하여 內外濕度가 일치하면 약 2mm 두께의 薄片으로 썰어서 햇볕에 건조<br/>輔料用量 : 白附子 IOOkg당 신선한 薑 25kg, 白礬 12.5kg의 비율<br/>二法<br/>淨選과 浸漂: 一法과 같다.<br/>煮製: 白附子와 白礬과 물을 炒製용기에 넣고 武火로 乾心이 없어질 정도로 삶아서(약 2〜3시간) 冷水를 조금 부어 꺼낸다.<br/>切片과 乾燥 : 삶은 白附子를 그늘에서 60% 정도 건조하면 다시 일 밀폐하여 內外濕度가 일치하게 축인 후,약 2mm 두께의 薄片으로 썰어 그늘에 건조<br/>輔料用量:白附子 IOOkg당 白礬 12.5kg의 비율로 한다.<br/>[注意事項]<br/>浸漂할 때 外皮가 성글면서 연해지고 粉化되는 등의 酸酵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白礬粉(100 :2의 비율)을 넣는다.<br/>햇볕에 말릴 때 강한 햇별이나 凍結되는 것을 엄격히 防止해야 破裂되지 않는다. | 生白附子 : 타원형 또는 긴 원형으로 길이는 1.5~3cm, 지름은 1〜2 cm 이며, 표면은 백색 또는 황백색으로 약간 거친 環紋과 小痲點의 뿌리흔적이 있다. 斷面은 白色으로 粉性이고 質은 단단하다. 無臭이고 味는 알알하여 자극감이 있다.<br/>製白附子:類圓形의 片狀으로 두께는 약 1.5mm이고, 표면은 황백색의 반투명상이 며,皮層은 황백색으로 주위의 外皮는 연한 갈색으로,중간은 白色. 無臭이고 맛은 약간 떫다. | 味辛 性溫 有毒 入胃肝經 祛風痰 定驚搐 逐寒濕 解毒 散結止痛 → 中風痰壅 口眼喎斜 語言 澀蹇 痰厥頭痛 偏正頭痛 喉痹咽痛 破傷風 등에 적용 → 外用으로 瘰癧痰核 毒蛇咬傷 등에도 적용<br/>生品 : 毒이 있어 일반적으로는 外用에 많이 응용된다. 祛風痰 定驚搐 解毒止痛하는 데 장점이 있으며, 口眼喎斜, 破傷風에 사용되고,外用으로는 瘰癧痰核 ,毒蛇咬傷에 사용<br/>製白附 : 生薑 白礬으로 炮製 후 毒性이 감소되고 알알한 맛이 없어지며, 祛風痰의 작용이 증강되어 주로 偏頭痛, 痰濕頭痛, 咳嗽痰多 등의 증후에 사용 | |
6 | Aconiti Kusnezoffii Tuber | Korean Aconite Root | 초오 | 草烏 | 토부자(土附子)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이삭바꽃 <i>Aconitum kusnezoffii</i> Reichb., 놋젓가락나물 <i>Aconitum ciliare</i>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i>Aconitum triphyllum</i> Nakai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덩이뿌리이다. | 가을철에 줄기와 잎이 시들었을 때 채취 | 줄기를 다듬고 물로 씻어 해볕에 말린 다음 비벼서 잔뿌리를 다듬어버린다. | 生草烏 : 原藥材에서 잡질과 남은 줄기를 제거하고 진흙과 모래를 깨끗이 씻어낸 다음 햇볕에 건조.<br/>製草烏 ① 浸 漂 : 깨끗한 草烏를 淸水에 담그어 매일 2~3번 물을 갈아주고 약15일 경과하여 心까지 스며들면 꺼내어 蘆頭를 제거한다.<br/>② 煮 製 : 일정량의 甘草 黑豆煎湯에 깨끗한 草烏를 넣고 武火로 약물의 白心이 없어질 때까지 삶아(약 3~4시간) 맛을 보아 짜릿한 마비감이 없으면 꺼낸다.<br/>③ 切片과 乾燥 : 煮製의 草烏를 그늘에서 40~50% 정도 건조한 후 밀폐하여(약 24~36시간) 축인 후 內外 습도가 일치하면 약 2mm 두께의 厚片으로 썰어 그늘에서 건조.(草烏 100kg당 甘草 5kg · 黑豆 10kg). | 生草烏 : 圓錐形으로 약간 굴곡되어 있고 가늘면서 길어 烏鴉頭 같으며 길이는 3~6cm, 지름은 1.2~2.5mm이다. 根頭에는 殘莖 또는 줄기의 흔적이 있고 표면은 어두운 갈색 또는 회갈색이며, 外皮는 쪼글쪼글하고 이따금 튀어나온 支根이 있는데 이것을 [釘角]이라 한다. 質은 단단하고 부서진 면은 회백색으로 粘性이 있으며 曲折된 環紋(形成層)과 筋脈小點이 있다. 無臭이며 맛은 辛辣하여 麻舌感(有毒)이 있다.<br/>製草烏 : 불규칙한 圓形 또는 三角形에 가까운 片狀으로 두께는 약 1mm, 지름은 1~1.5mm이다 . 표면은 흑갈색 또는 어두운 황색이고 광택이 나며 중심부위의 색은 비교적 연한 회색을 띤다. 外層은 회백색이고 多角環紋의 小節脈點이 있으며 갈라진 틈이 있고 주변에는 갈색의 깊은 주름이 있거나 또는 깊은 缺刻이 있다. 質은 단단하고 맛은 비교적 약하다. | 性溫 味辛 有毒 入心肝腎脾經 祛風濕 , 通關節 , 散寒止痛 → 治風寒濕痺, 關節庝痛 , 心服冷痛 , 寒疝作痛 등. 麻醉止痛의 목적에도 적용.<br/>生品 : 毒이 강렬하여 일반적으로 內服하지 못하며, 腫毒과 止痛 등에 外用하는데 祛寒止痛 , 消腫하는 효능이 주가 되며, 喉痹 , 癰疽 , 疔瘡 , 나瀝 및 破傷風 등의 병증에 적용한다.<br/>炮製 : 毒性이 많이 약해지므로 內服하는데 사용되는데, 祛風除濕 . 溫經止痛 하는 효능이 좋아지며, 風寒濕痺, 關節庝痛, 脘腹冷痛, 跌撲腫痛, 頭風頭痛, 偏正頭痛 등의 증후에 적용. |
7 | Aconiti Lateralis Radix Preparata | Prepared Aconite | 부자 | 附子 | 자근(子根): 식물의 원뿌리에서 갈라진 뿌리. 가운데 중심 부분의 뿌리 옆에 붙어 있는 뿌리를 말한다. | 이 약은 오두 (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자근 (子根)을 가공하여 만든 염부자 (鹽附子), 부자편 (附子片) 및 포부자 (炮附子)이다. | 6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 채취 |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100℃에서 2시간 찐 다음 꺼내여 겉껍질을 벗기고 절반으로 쪼개여 40℃아래에서 말린다. | 鹽附子 : 크고 고른 泥附子를 골라서 깨끗이 씻어 食用膽巴(간수:鹽滷水)의 수용액에 넣고 하루가 지난 후 다시 간수와 食鹽의 혼합액에 넣고 계속 侵泡하여 날마다 꺼내어 햇볕에 말리고 아울러 점차적으로 말리는 시간을 늘려서 附子의 표면에 많은 結晶性의 소금가루(鹽想)가 나타나고 質이 단단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건조<br/>黑順片 : 중간 정도 크기의 泥附子를 골라서 깨끗이 씻은 다음 간수(鹽滷水 ; 주성분으로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을 함유)에 약 5일 정도 담근(보통 生附子 100 당 간수 40.淸水 30의 비율) 후 生附子와 간수를 함께 삶아 心까지 스며들면 꺼내서 淸水에 24시간 정도 담그었다가 外皮를 제거하지 않고 縱으로 약 5mm의 厚片으로 썰어서 다시 浸漂해서 담가 糖과 菜油製, 調色製를 가하여 附片이 짙은 茶色으로 물들면 꺼내어 쪄서 附子片에 油面이 나타나고 광택을 띠면 불에 쬐어 반쯤 말린 후 다시 햇볕에 건조하거나 혹은 계속해서 불에 쬐어 건조<br/>白附片 : 크기가 균일한 泥附子를 선택하여 깨끗이 씻고, 간수(鹽滷水 : 주성분은 염화마그네슘, 염화칼슘)에 약 5일 정도 담근다(보통 生附子 100당 간수 40.淸水 30의 비율). 그 다음 生附子와 간수를 함께 삶아서 心까지 스며들면 꺼내어 淸水에 24시간 정도 담그어 外皮를 벗기고 縱으로 약 3mm의 厚片으로 썬다. 이 附片을 다시 물에 담그어 우려(水浸漂)서 꺼내고 충분히 쪄서 반 정도로 햇볕에 건조하여 硫黃으로 熏한 후 다시 햇볕에 건조<br/>淡附片 : 鹽附子를 淸水에 담그어 매일 2~3번 물을 갈아주고 10~15일 경과하며 기본적인 짠맛이 우러나 消失된다. 이 鹽附子를 일정량의 甘草와 黑豆에 물을 넣고 함께 쪄서 心까지 스며들게 하는데 썰어서 맛을 보아 辛辣하면서 마비감이 없을 때(약 2~3시간 후) 꺼낸다. 甘草와 黑豆를 제거하고, 삶은 附子의 外皮를 깎아 버리고 厚片으로 썰어 재어두어 축인 후 그늘에서 말리되 60~70% 정도 말랐을 때 다시 밀폐하여 內外濕度가 일치하게 축인 후 약 1.5mm의 薄片으로 썰어 그늘에서 건조(鹽附子 100kg당 감초 5kg, 흑두 10kg). | 鹽附子 : 원추형으로 길이 4~7cm, 지름 3~5cm이다. 표면은 회흑색으로 鹽想이 덮여 있고 頂端에는 함몰된 싹의 흔적이 있다. 주위에는 瘤狀突起의 支根 혹은 支根의 흔적이 있으며 무겁고, 橫斷面은 회갈색이며, 鹽想의 작은 빈틈과 多角形의 형성층 무늬가 꽉 차 있다. 무늬의 안쪽은 導管束이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br/>黑順片 : 형태는 불규칙한 縱切厚片으로 위쪽은 넓고 아래는 좁다. 길이 1.7~5cm, 너비 0.9~3cm, 두께는 0.2~0.5cm이다. 外皮는 흑갈색이며 切斷面은 어두운 황색으로 기름기가 있고 광택이 나며 반투명상이다. 그리고 세로로 뻗은 導管束이 있으며 質은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우며, 斷面은 角質形이다. 無臭이고 味는 淡白하다.<br/>白附片 : 두께는 약 3mm의 厚片이며 外皮가 없고 표면은 황백색이며 반투명하고, 氣味는 黑順片과 같다.<br/>炮附片 : 색택이 짙어지며, 약간 부풀어 올라 있고, 약간 香氣가 있다.<br/>淡附片 : 두께는 약 1.5mm의 薄片이며 표면은 회백색 또는 흑갈색으로 광택이 약간 나고 質은 단단하며 바삭바삭하다. 無臭이고 味는 淡微新하고 痲痹性이 거의 없다. | 性大熱 味辛甘 有毒 歸心腎脾經. 回陽救逆 補火助陽 逐風寒濕邪 → 亡陽虛症, 肢冷脈微, 宮冷, 心腹冷通, 虛寒의 吐瀉, 陰虛의 水腫, 陽虛外感, 寒習痹痛 등의 병증에 적용<br/>生附片 : 熱하고 峻烈해서 많은 양의 毒이 있으며, 回陽救逆에 적합하지만, 生用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며, 대부분 外用으로 사용되고, 炮製를 거친 후에 毒性이 降下되어 비로소 내복에 응용. 附子를 반복적으로 가열한 炮附片, 淡附片은 약성이 완화되어 溫裏散寒, 止痛에 적당.<br/>炮附片 : 溫腎暖脾, 補命門之火의 약효가 강하여, 心腹冷痛 虛汗吐瀉 冷痢腹痛 冷積便秘 혹은 久痢赤白 등의 증후에 사용<br/>淡附片 : 回陽救逆, 散寒止痛의 효능을 주로 하며, 亡陽虛症 肢冷脈微 寒濕痹痛 心腹冷通 陽虛水腫 등의 증후에 사용 | |
8 | Aconiti Tuber | Aconite | 천오 | 川烏 | 모근의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오두(烏頭) <i>Aconitum carmichaeli</i> Debeaux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모근의 덩이뿌리이다. | 6월 하순부터 8월 상순까지 채취 | 자근(子根)과 수염뿌리 및 흙모래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 천오두(川烏頭)를 냉수(冷水)에 3-5일(매일 1-2회 환수(換水))담갔다가 용기속에 넣고 흑두(黑豆) 혹은 두부(豆腐), 감초(甘草) 및 생강편(生薑片)을 넣어 뒤섞은 후에 2-4시간 자비(煮沸)해서 안쪽의 백심(白心)이 없어질 정도가 되면 냉각시켜 보료(輔料)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홍건(烘乾)한다. | |||
9 | Acori Graminei Rhizoma | 석창포 | 石菖蒲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석창포 <i>Acorus gramineus</i> Solander (천남성과 A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가을철과 겨울철에 채취 | 물에 씻어 수염뿌리와 흙모래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 原藥材에서 殘葉,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밀폐하여 축인 후 厚切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 | 扁圓形의 厚切片으로 직경은 0.3~1cm이고 표면은 類白色이거나 연한 홍색이며, 環狀의 內皮層 및 갈색의 油點이 보인다. 주변은 진한 갈색이거나 회갈색이고, 鬚根이나 圓點狀의 뿌리 흔적이 남아 있다. 質은 단단하면서도 잘 부숴지고, 香이 있으며 맛은 쓰고 약간 辛하다. | 性溫 味辛苦 入心胃經. 化濕開胃, 開竅豁痰, 和中辟濁, 醒神益智 → 주로 脘痞不飢, 噤口下痢, 神昏癲癎, 健忘耳聾의 증상을 치료. 生薑蒲는 質이 堅硬한데, 切片하면 그 유효성분의 煎出에 편리하다. | ||
10 | Actinidiae Fructus | 목천료 | 木天蓼 | 천료(天蓼), 등천료(藤天蓼), 천료목(天蓼木), 목천료자(木天蓼子) | 가지, 벌레 먹은 열매(木天蓼子), 잎 | 이 약은 개다래나무 <i>Actinidia polygama</i> Miquel 또는 쥐다래나무 <i>Actinidia kolomikta</i> (Maximowicz) Maximowicz (다래나무과 Actinidiaceae)의 가지, 잎 또는 벌레 먹은 열매(木天蓼子)이다. | 가을철에 줄기를 채취 | |||||
11 | Adenophorae Radix | 사삼 | 沙參 | 뿌리 | 이 약은 잔대 <i>Adenophora triphylla</i> var. <i>japonica</i> Hara 또는 사삼(沙蔘) <i>Adenophora stricta</i> Miq.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 |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은 뒤 신선할 때 코르크를 제거하고 씻어서 말린다. | |||||
12 | Adenophorae Remotiflori Radix | 제니 | 薺苨 | 뿌리 | 이 약은 모시대 <i>Adenophora remotiflorus</i> Miquel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이다. | 늦은 가을에 뿌리를 채취 |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물에 씻어 해볕에 말린다. | |||||
13 | Agastachis Herba | 곽향 | 藿香 | 토곽향(土藿香), 배초향(排草香)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배초향 <i>Agastache rugosa</i> (Fischer et Meyer) O. Kuntze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꽃피는 시기에 채취 | 그늘에서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윤투(潤透)시킨 다음 세절(細切)하여 사용한다. | |||
14 | Agkistrodon | 백화사 | 白花蛇 | 기사(蘄蛇) | 몸체 | 이 약은 오보사 <i>Agkistrodon acutus</i> Gunther (살모사과 Viperidae)의 내장을 뺀 몸체이다. | 대가리는 그대로 두고 가죽을 벗긴 다음 배를 갈라 내장을 제거하고 씻어서 대나무 조각으로 복부를 펼쳐 원반 모양으로 만들어 불에 말린 다음 대나무 조각을 제거한다. 그 후, 불에서 말리거나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다. | |||||
15 | Agrimoniae Herba | 용아초 | 龍牙草 | 선학초(仙鶴草)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짚신나물 <i>Agrimonia pilosa</i> Ledebour 또는 기타 동속식물 (장미과 Rosaceae)의 전초이다. | 색이 변한 부분과 흙, 먼지를 없애고 해볕이나 그늘에서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윤투후(潤透後) 절단하여 사용한다. | ||||
16 | Ailanthi Radicis Cortex | 저백피 | 樗白皮 | 저근백피(樗根白皮) | 근피(뿌리를 감싸고 있는 바깥 껍질), 수피(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 바깥 부분의 조직) | 이 약은 가죽나무 <i>Ailanthus altissima</i> Swingle (소태나무과 Simarubacea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 또는 근피이다. | 연중 아무 때나 채취 | 뿌리껍질 또는 줄기껍질을 벗겨 겉껍질(코르크층)을 다듬어버리고 속껍질만 해볕에 말린다. | 초구(醋灸)하거나 밀구(蜜灸)한다. 단순히 부피초(麩皮炒)한 경우에는 고조(苦燥)한 성(性)을 감약시키기 위함이다 | |||
17 | Akebiae Caulis | Akebia Stem | 목통 | 木通 | 줄기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줄기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가을철에 줄기를 채취 | 겉껍질을 다듬어버리고 알맞춤한 길이로 잘라 해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윤투(潤透)시킨 다음 절편(切片)하여 사용한다. | |||
18 | Akebiae Fructus | 예지자 | 預知子 | 임하부인(林下婦人), 팔월찰(八月札) | 잘 익은 열매 | 이 약은 으름덩굴 <i>Akebia quinata</i> Decais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열매가 녹황색일 때 채취 | 햇볕에 말리거나 끓는물에 살짝 데친 뒤 햇볕에 말린다. | ||||
19 | Albizziae Cortex | 합환피 | 合歡皮 | 야합피(夜合皮) | 줄기껍질 | 이 약은 자귀나무 <i>Albizzia julibrissin</i> Durazzini (콩과 Leguminosae)의 줄기껍질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채취 | 햇볕에 말린다. | ||||
20 | Alismatis Rhizoma | Alisma Rhizome | 택사 | 澤瀉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질경이택사 <i>Alisma orientale</i> Juzepzuk (택사과 Alismataceae)의 덩이줄기로서 잔뿌리 및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겨울철에 줄기와 잎이 시들기 시작할 때 채취 |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물에 씻은 다음 겉껍질을 칼로 다듬고 해볕에 말린다. | 澤 瀉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맑은 물에 담그어 70% 정도 수분이 흡수되면 깨끗이 씻어 그늘에 두어 12~24시간 밀폐시켜 내외습도가 일치하면 약 3mm 두께의 厚片으로 썬다.<br/>鹽澤瀉 : 깨끗한 澤瀉片에 일정량의 식염수의 용액을 뿌려 골고루 축인 후, 炮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微黃火色이 띨 정도로 炒 하여 그늘에 放冷한다 (澤瀉生片 100kg당 食鹽 2.5kg).<br/>麩炒澤瀉 : 麥麩를 炮製용기에 뿌려 넣고 中火로 加熱하여 진한 연기가 날 때 澤瀉片을 넣고 계속적으로 뒤집으면서 炒 하여 표면이 황색을 띠면 꺼내고, 체를 쳐서 麩皮를 제거하여 서늘한 곳에 放冷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乾燥된 飮片을 사용하는데, 만일 그렇지 않으면 쉽게 麩皮에 달라붙어 체로 쳐서 麩皮를 제거하기가 어렵게 된다(澤瀉生片 100kg 당 麩皮 10kg). | 澤 瀉 : 원형 片狀으로 두께 약 3mm, 지름 약 2.5~4.5cm 이고, 표면은 황백색에 平整하며 海綿 모양의 작은 구멍과 縱橫으로 흩어진 筋脈무늬가 있고, 가장자리는 황백색의 튀어나온 빽빽한 수염뿌리 흔적이 있다. 질은 단단하고 냄새는 약하며 미는 약간 고하다.<br/>鹽澤瀉 : 형태는 澤瀉生片과 같고 표면은 연한 黃火色에 가끔 黃焦斑이 나타나있다. 味는 약간 鹹하다.<br/>麩炒澤瀉 : 표면이 황색이고 간혹 焦斑이 보이며, 약간 焦香氣가 있다. 味는 약간 쓰다. | 性寒 味甘 入腎膀胱經. 利小便,靑濕熱 → 治 小便不利 水腫脹滿, 泄瀉尿少, 痰飮眩暈, 熱淋澁痛 및 高脂血症 등<br/>生用 : 利水渗濕에 작용하여, 淋病, 小便不利, 水腫, 濕熱黃疸, 濕熱帶下, 淋濁, 泄瀉, 痰飮 등의 증상에 많이 적용.<br/>鹽水製 : 下行하는 성질이 있어, 滋陰,泄瀉,利水 작용이 증강되며, 아울러 利尿하되 傷陰하지 않게 된다. 小便淋澀, 遺精淋漓 , 腰部重痛, 腰膝痠軟 등의 증후에 주로 많이 사용.<br/>麩炒 : 寒性이 완화되어서 渗濕和脾하고 降濁하여서 昇淸하게 하는 것을 주로 하는데, 脾濕泄瀉, 痰濕眩暈, 脾虛泄瀉, 久瀉 등의 증상에 사용. | |
21 | Alli Tuberosi Semen | 구자 | 韮子 | 가구자(家韮子) | 씨 | 이 약은 부추 <i>Allium tuberosum</i> Rottler (백합과 Liliaceae)의 씨이다. |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열매차례를 채취 | 해볕에 말린 다음 비벼서 씨를 털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 韭子 : 原藥材를 취하여 雜質을 제거하고, 체로 쳐서 먼지와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사용할 때 搗碎.<br/>鹽炒韭子 : 깨끗한 韭子를 취한 후 소금물로 잘 섞은 다음 밀폐하여 축인 후 鹽水가 모두 흡수되면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소금물이 전부 흡수되어 마를 때까지 炒하고 꺼내어 식힌다. 사용할 때 搗碎.(韭子 100kg당 소금 2kg) | 韭子 : 半圓形 또는 半卵形으로 조금 납작하고 길이 3~4mm, 너비는 약 2mm이다. 표면은 흑색으로 한 쪽은 볼록 나왔고 세밀한 망상의 주름이 있으며, 다른 한 쪽에는 조금 들어가 주름은 뚜렷하지 않으며 基部는 약간 뾰족하고, 點狀으로 突起된 種臍가 있다. 質은 단단하고 氣는 특이라며 막은 약간 辛하다.<br/>鹽炒韭子 : 색택이 짙고, 香氣가 있으며, 맛은 짜고 약간 辛하다. | 性溫 味辛甘 溫補肝腎 · 腸陽固精 → 治 肝腎不足 · 腎陽虛衰 · 腎氣不固 등에 의한 陽痿遺精, 腰膝冷痛, 小便頻數, 遺尿白濁, 白帶下에 적용.<br/>生品 : 辛 · 溫으로 散寒하고, 그 性이 燥에 偏重되어 腎虛에 寒濕을 겸한 腰膝의 痠軟冷痛, 婦人帶下에 적용. 임상에서는 婦人帶下를 치료하는 韭子湯[中藥臨床應用]등의 處方에 적용.<br/>鹽炒 : 辛味가 減弱되고 약물의 質이 성글게 되어 有效成分의 煎出을 容易하게 되며, 藥을 腎으로 引經하고 補腎壯陽 · 固情作用을 증강한다. 따라서 陽痿, 遺精, 尿頻에 사용되는데, 生品에 비해서 효과가 좋음. | |
22 | Allii Bulbus | Garlic | 대산 | 大蒜 | 호산(葫蒜) | 인경: 비늘줄기. 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마늘 <i>Allium sativ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비늘줄기이다. | 여름철에 잎이 마를 때 채취 | 수염뿌리와 흙모래를 제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겉껍질이 마를 때까지 말린다. | |||
23 | Allii Fistulosi Bulbus | Ciboule Root, Fistular onion stalk | 총백 | 葱白 | 파뿌리 | 비늘줄기(줄기의 밑 부분에 다수의 비늘조각이 줄기를 둘러싸고 지하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부분) | 이 약은 파 <i>Allium fistulosum</i> Linné (백합과 Liliaceae)의 신선한 비늘줄기이다. | 수근(鬚根)과 이사(泥沙)를 제거하고 세정(洗淨)하여 사용한다. | ||||
24 | Allii Macrostemi Bulbus | 해백 | 薤白 | 소근산(小根蒜), 해백두(薤白頭)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산달래 <i>Allium macrostemon</i> Bunge 또는 염부추 <i>Allium bakeri</i> Regel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채취 | 씻어서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속까지 익도록 찌거나 끓는물에 데쳐 햇볕에 말린다. | ||||
25 | Aloe | Aloe | 노회 | 蘆薈 | 액즙(液汁) | 이 약은 <i>Aloe barbadensis</i> Linné, <i>Aloe ferox</i> Miller, <i>Aloe africana</i> Miller 또는 <i>Aloe spicata</i> Baker의 잡종 (백합과 Lilliaceae) 의 잡종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 年中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연말(硏末)하며 사용한다. | ||||
26 | Alpiniae Katsumadai Semen | Alpina Katsumadai Seed | 초두구 | 草豆蔲 | 열매껍질 | 이 약은 초두구 (草豆蔲) <i>Alpinia katsumadai</i> Hayata (생강과 Zingiberaceae)의 씨로서 열매껍질을 제거한 것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채취 | 햇볕에 9할 정도 말리거나 물에 살짝 데쳐서 햇볕에 절반쯤 말린 다음, 열매껍질을 제거하고 종자 덩이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 草豆蔲 : 原藥材를 취하여 雜質과 殘留되어 있는 果穀 및 찌꺼기와 부스러기는 체로 쳐서 제거하고 사용할 때 搗碎한다.<br/>炒草豆蔲 : 草豆蔲仁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연한 황색을 띠고 향기가 스며나올 때까지 炒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곳에 放冷하였다가 사용할 때 搗碎한다.<br/>薑草豆蔲 : 草豆蔲仁과 薑汁을 고루 섞은 다음 약간 밀폐하여 薑汁이 모두 흡수된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炒乾하고, 꺼내어서 서늘한 곳에서 건조하여 사용할 때 搗碎한다.(草豆蔲 100kg 당 生薑 10kg) | 草豆蔲 : 둥근 球形의 種子團으로 지름이 1.5~2.7cm이다. 표면은 회갈색으로 중간에는 황백색의 膈膜이 있으며, 種子團은 3쪽으로 갈라지고, 각 쪽마다 많은 種子가 密着되어 잘 떨어지지 않는다. 種子는 卵狀의 多面體로 길이 3~5mm, 지름은 약 3mm이고, 겉에는 연한 갈색의 膜質의 假種皮로 싸여 있으며, 種脊은 한 개의 縱溝로 되어 있고, 한쪽에는 種臍가 있다. 質은 단단하고, 胚乳는 회백색이다. 향기가 있으며, 맛은 맵고 약간 쓰다.<br/>炒草豆蔲 : 표면이 연한 황색이다.<br/>薑草豆蔲 : 표면이 황색이고, 생강 냄새가 약간 난다. | 性溫 味辛 入脾·胃輕. 燥濕行氣·溫中祛寒 → 治寒濕內阻, 脘腹脹滿冷痛, 噯氣嘔逆, 不思飮食, 泄瀉腹痛 등.<br/>生品 : 辛香하면서 燥하며, 散寒祛濕과 理氣開鬱의 작용이 비교적 강하여 주로 寒濕이 脾胃에 鬱滯되어 胸腹脹悶, 食慾不振, 嘔吐 혹은 腹痛泄瀉 등의 증상에 常用되는데 임상에서는 生用을 주로 한다.<br/>일부 지역에서 炒製品이나 薑製品을 사용 : 炮製한 후에는 辛香走散하는 작용이 減弱되고 溫脾暖胃에 효능이 偏重된다<br/>炒製品은 虛寒腹瀉에 많이 사용되고, 薑製品은 胃寒嘔吐에 사용. | |
27 | Alpiniae Officinari Rhizoma | Alpinia Officinarum Rhizome | 고량강 | 高良薑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고량강(高良薑) <i>Alpinia officinarum</i> Hance (생강과 Zingiberaceae)의 뿌리줄기이다. |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채취 | 수염뿌리와 남아있는 비늘잎을 제거하고, 물에 씻어서 길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생용(生用) 혹은 초용(炒用)한다. | |||
28 | Alpiniae Oxyphyllae Fructus | Bitter Cardamon | 익지 | 益智 | 열매 | 이 약은 익지 (益智) <i>Alpinia oxyphylla</i> Miquel (생강과 Zingiberaceae)의 열매이다. | 여름과 가을 사이에 열매가 녹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채취 | 해볕에 말리거나 저온건조한다. | 益智仁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炒製용기에 넣어 武火로 炒하여 표면이 부풀어 오르고 황갈색이 되면 꺼내 서늘한 그늘에서 건조. 다음 藥碾에 넣고 硏碎하여 체로 쳐내고 果瓤과 皮殼 을 키로 쳐서 깨끗한 仁을 取한다.<br/>鹽益智仁 : 깨끗한 益智仁을 용기에 넣고 정량의 식염수용액을 넣어 고루 축인 다음, 이것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炒하여, 표면이 연한 黃火色이 되고 향기가 날 때 꺼내어 시원한 그늘에 널어 식힌다(益智仁 100kg당 食鹽 2.5kg) | 益智仁 : 種子는 扁圓形의 불규칙한 粒狀 또는 聯結狀에 약간 둔한 모서리(稜)이 있고 크기는 약 3mm 정도로서 회갈색 또는 회황색이며 쪼갠 속은 백색이고 粉質이다. 향기가 특이하고 味는 辛하면서 약간 苦하다.<br/>鹽益智仁 : 형태는 益智仁의 生品과 같으나 약간 부풀어 있고 약간 짠맛이 있다. | 性溫 味辛 入脾腎經. 補腎固精 溫脾止瀉 收攝涎唾 縮尿 → 治 冷氣腹痛, 中寒吐瀉, 多唾, 遺精, 小便餘瀝, 夜多少便의 증상을 치료한다.<br/>生益智仁 : 性味는 辛溫하면서 燥하여 溫脾止瀉, 水攝涎唾의 효능이 우수하며, 腹痛吐瀉, 口涎自流의 증상에 많이 사용.<br/>鹽製 : 辛燥의 性味가 완화되고, 오로지 下焦에 약효가 발휘되어 補腎 固情 縮尿하는 효능에 장점이 있어, 腎氣虛寒으로 인한 遺精, 早泄, 尿頻, 遺尿, 白濁의 증상에 사용. | |
31 | Amomi Fructus | Amomum Fruit | 사인 | 砂仁 | 축사(縮砂) | 열매 | 이 약은 녹각사 (錄殼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var. <i>xanthioides</i> T. L. Wu et Senjen 또는 양춘사 (陽春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채취 | 해볕에 말리거나 저온건조한다. | 砂 仁 :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과 果柄을 제거. 사용할 때는 搗碎.<br/>鹽砂仁 : 깨끗한 砂仁에다가 소금물을 고루 잘 섞어서 약간 밀폐하여 두었다가 鹽水가 충분히 흡수되면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炒乾하여 꺼내어 서늘한 곳에 放冷. 사용할 때는 搗碎한다(砂仁 100 kg당 食鹽 2kg) | 砂 仁 : 陽春砂 · 海南砂 · 縮砂에 따라 形色氣味에 약간씩 차이점이 있다.<br/>鹽砂仁 : 약재의 色이 더 짙어지고 辛香氣가 약간 減弱되며 맛은 약간 짜다. | 性溫 味辛 入脾胃腎經. 化濕開胃 · 溫脾止瀉 · 理氣安胎 · 止嘔 → 治 濕濁中阻, 脘痞不飢, 脾胃虛寒, 嘔吐泄瀉, 姙娠惡阻, 胎動不安 등<br/>生用 : 辛香하여 化濕行氣 · 醒脾和胃調醒中하는 힘이 커서 脾胃의 濕阻氣滯로 인한 腹痛痞脹, 胃呆食滯, 嘔吐泄瀉에 常用.<br/>鹽砂仁 : 辛溫의 性이 약간 減弱되고, 溫하되 燥하지 않으며, 降氣安胎 작용이 강하게 되며, 또한 약성을 이끌고 下行하게 하여 溫腎縮尿의 작용을 강하게 할 수 있다. 姙娠惡阻, 胎動不安 혹은 小便頻數, 遺尿에 많이 사용 |
32 | Amomi Fructus Rotundus | Round Amomum Fruit | 백두구 | 白豆蔲 | 열매 | 이 약은 백두구 <i>Amomum kravanh</i> Pierre ex Gagnep. 또는 자바백두구 <i>Amomum compactum</i> Solander ex Maton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10~12월 사이에 果實이 黃色으로 성숙하여 갈라지기 전에 채취 | 열매꼭지를 다듬어버리고 해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사용할 때 거피(去皮)하거나 혹은 연피(連皮)하여 도쇄용(搗碎用)한다. | |||
33 | Amomi Tsao-ko Fructus | Amomum Tsao-ko Fruit | 초과 | 草果 | 열매 | 이 약은 초과 (草果) <i>Amomum tsao-ko</i> Crevost et Lemaire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채취 | 이물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저온건조한다. | 草果仁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炒하여 外穀이 부풀어오르고 火色이 되면 꺼내어 식힌 다음, 藥碾으로 串碎(外穀을 부수어 제거하는 炮製法 하여 흙은 체로 내리고 키로 外穀을 제거한 후 깨끗한 仁을 取하여 사용할 때 搗碎한다.<br/>薑草果 : 깨끗한 草果仁과 일정량의 신선한 生薑汁을 고루 혼합한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약간 黄火色이 될 때까지 炒하여 그늘에 널어 식히면서 건조(草果仁 100kg 당 生薑 10kg). | 草果仁 : 불규칙한 多角形의 粒狀에 길이는 약 3~6mm이며 갈색이고 간혹 연한 황색의 얇은 膜狀인 假腫皮가 붙어 있다. 향기가 농후하고 味는 辛하다.<br/>薑草果 : 형태는 生品과 같으나 향기가 약하고 매운 맛이 있다. | 性溫 味辛 入脾·胃經 燥濕除痰·溫中止嘔·消積化食·去痰截瘧 → 治寒濕內阻, 脘腹脹痛, 痞滿嘔吐, 瘧疾寒熱 등<br/>草果仁의 性味는 辛·溫燥烈하며, 燥濕散寒하는 작용이 비교적 강하여 祛痰截瘧·散邪外出하는 데 장점이 있으므로 따라서 瘧疾, 瘟疫초기에 常用되며, 또한 寒濕困脾에도 사용.<br/>薑汁製 : 燥烈한 약성이 완화되어 溫中止嘔 작용이 강화되므로, 脾胃에 寒濕이 助滯되어 脘腹脹滿, 反胃止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며, 또한 瘧疾에도 사용. | |
34 | Ampelopsis Radix | 백렴 | 白蘞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가회톱 <i>Ampelopsis japonica</i> Makino (포도과 Vitaceae)의 덩이뿌리이다. |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 | 물에 씻고 실북모양의 굵은부분만을 잘라 겉껍질과 잔뿌리를 다듬어버린 그대로 말리거나 큰것은 세로 쪼개여 해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절편(切片)하여 사용한다. | ||||
35 | Amydae Carapax | 별갑 | 鱉甲 | 단어(團魚) | 배갑(背甲): 등딱지 | 이 약은 자라 <i>Pelodiscus sinensis</i> (Wiegmann) (자라과 Trionychidae)의 등딱지(背甲)이다. | 주로 가을철과 겨울철에 잡는다 | 목을 잘라 죽인 다음 끓는물에 넣어 1~2시간 충분히 끓여 등딱지 위의 딱딱한 껍질이 벗겨질 때까지 삶은 다음 꺼내어 등딱지를 빼내고 남아있는 살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린다. | 鱉甲 : 原藥材를 항아리에 일정량의 白灰와 탄산나트륨, 그리고 적당량의 맑은 물과 함께 넣어 약 10일 정도 담그어 두었다가 꺼내어서 부순 다음, 다시 맑은 물에 깨끗이 씻어 햇볕에 건조(鱉甲 100㎏당 白灰 20㎏ 탄산나트륨 2.5㎏). 혹은 原藥材를 취하여 熱水에 넣고 딱딱한 솔로 皮肉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하거나 혹은 시루에 넣고 끓는 물로 45분 동안 쪄서 꺼내어 서늘한 곳에서 식힌 다음 깨끗이 씻어 햇볕이 잘 드는 곳에 두어서 건조하되, 밤에도 그대로 두고 말려서 臭氣가 없어지게 한다.<br/>砂炒醋淬鱉甲 : 적당량의 깨끗한 모래를 炒製용기에 넣고 武火로 모래가 뜨거워지도록 炒한 후에, 크기가 같은 순수한 鱉甲을 넣고 계속 炒하여 표면이 연한 黃火色이 되면 꺼내 모래는 체로 쳐서 버리고 뜨거울 때 定量의 米醋가 들어 있는 동이에 넣어 담금질을 하고 그늘에 널어 放冷(鱉甲 100㎏당 米醋 30㎏). | 鱉甲 : 긴 方形의 片狀에 길이 약 3㎝이며, 표면은 청백색을 띠고 背面에는 오목 들어간 細點이 밀집해 있으며, 가장자리에 齒狀의 돌기가 있어 脊椎骨碎粒狀이다. 質은 단단하고 냄새는 비리며 味는 淡하다.<br/>醋鱉甲 : 형태는 生鱉甲과 같고 표면은 연한 黃火色이다. 醋氣가 약간 있고 味는 약간 酸 | 性微寒 味鹹 入肝腎經. 滋陰潛陽 軟堅散結消痞 退熱除蒸 → 治 陰虛發熱, 勞熱骨蒸, 虛風內動, 經閉, 癥瘕, 久瘧瘧母 등. <br/>生品 : 質이 단단하고 腥臭氣가 있다. 養陰淸熱 潛陽熄風하는 효력이 강하며, 熱病傷陰 혹은 內傷虛熱, 虛風內動 등에 응용.<br/>砂炒醋淬製 : 약물의 재질이 느슨하며 파삭파삭하여 분쇄하기에 쉽고 유효성분의 煎出에도 유리하며, 냄새도 제거된다. 또한 肝에 작용하여 消積 軟堅散結하는 효능을 강하게 하므로, 癥瘕積聚, 陰虛潮熱, 月經停閉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 | |
36 | Anemarrhenae Rhizoma | Anemarrhena Rhizome | 지모 | 知母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지모 <i>Anemarrhena asphodeloides</i> Bunge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3년 이상된 종류에서 봄과 가을에 채취 | 수염뿌리 및 흙모래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 것을 흔히 ‘모지모(毛知母)’라고 부른다. 또는 겉껍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맑은 물로 진흙을 깨끗이 씻은 후, 수분이 스며들게 12~24시간 밀폐시켜 內外濕度가 일치하면 厚편(약 1.5mm)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br/>鹽知母 : 깨끗한 知母片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微黃火色이 되게 炒한 후 일정량의 鹽水를 뿌려 약간 촉촉할 때까지 계속 볶아서 꺼내 서늘한 곳에 放冷한다(지모 100kg당 식염 2kg). | 知母 : 類圓形 또는 條形을 띤 두께 약 1.5mm 되는 얇은 片으로, 표면은 연한 황색 또는 황백색이고 거칠면서 筋脈點이 어른거리고 틈이 있다. 가장자리는 회갈색을 띤 코르크층에 가지런하지 못한 세로 주름과 불규칙한 홈이 파져 있고 거기에 황색의 가는 수염뿌리가 있다. 質은 부드러우며 중간부위는 조밀하지 않다. 향기가 독특하며 맛은 달면서 쓰고 粘性을 띤다.<br/>鹽知母 : 형태는 酒知母와 같고 약간 짠맛이 있다.<br/><b>[成分作用]</b><br/>知母에는 다종의 steroid類 saponin이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timosaponin A1·A2·A3·A4·B1·B2의 여섯 종류 saponin이 함유되어 있고 그 배당체로서는 sarsasapogenin, markgenin, neogitogenin이 이미 알려져 있으며 結合糖으로는 이미 glucose 및 lactose 등이 알려져 있다. 知母浸膏는 解熱작용이 있고 煎劑는 溶血性黃色葡萄球菌, A型·B型 溶血性連鎖狀球菌, 肺炎雙球菌, 痢疾桿菌, 티푸스菌, 大腸桿菌, 百日咳桿菌 및 흔히 나타나는 일반적인 病源性皮膚眞菌에 대하여 비교적 강력한 억제작용이 있다.<br/><b>[炮製의 分析]</b><br/>이 약물을 鹽製한 후에는 점액질을 파괴하여서 유효성분의 煎出을 도와준다. | 性寒 味苦甘 入肺·胃·腎經/ 淸熱除煩·瀉肺滋腎 → 治外感熱病, 高熱煩渴, 肺熱燥咳, 骨蒸勞熱, 內熱消渴, 腸燥便秘 등<br/>生品 : 苦·寒의 性味로 滑利하고 淸熱瀉火·生津潤燥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肺火喘咳, 肺熱咳嗽, 胃熱壅盛, 高熱煩渴, 大便燥結 등의 증상에 적용.<br/> 鹽製 : 下行하여 오직 腎에 작용하여 滋陰降火의 효능을 도와주고 아울러 虛熱을 淸하게 하여 肝腎陰虧하고 虛火가 上炎하여 야기되는 骨蒸潮熱, 盜汗, 遺精, 腰膝酸痛 및 陰虛尿閉 등의 증후에 적용 | |
39 | Angelicae Dahuricae Radix | Angelica Dahurica Root | 백지 | 白芷 | 뿌리 | 이 약은 구릿대 <i>Angelica dahurica</i> Bentham et Hooker f. 또는 항백지(杭白芷) <i>Angelica dahurica</i> Bentham et Hooker f. var. <i>formosana</i> Shan et Yuan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 사이에 잎이 노랗게 될 때 채취 | 잎꼭지를 다듬어버리고 물에 씻은 다음 그대로 말리거나 세로 쪼개여 해볕에 말린다. | 原藥材의 잡질을 제거하고,크기가 비슷한 것끼리 분류한 다음 물속에 담그어 수분이 0~70% 스며들면 꺼내어 그늘에 말리면서 축축한 상태에서 厚片으로 썰어 건조 | 원형의 厚片이고,표면은 백색 혹은 회백색이며,粉性을 지니고 있다, 方形 혹은 원형의 갈색고리가 있고,皮部에는 여러 개의 갈색 油點이 散布되어 있다. 氣는 芳香이고, 맛은 맵고 약간 쓰다. | 味辛 性溫 入胃大腸肺經 散風除濕 通竅止痛 消腫排膿 → 感冒頭痛, 眉陵骨痛,鼻塞,鼻淵,牙痛, 白帶,瘡傷腫痛 등의 병증에 응용<br/>임상에서 生品으로 많이 사용되며, 그 芳香을 취하여 通窮 散風止痛하는 효능을 취하고자 함.<br/>軟化해서 切片하면 調劑와 製劑에 편리하며,유효성분의 煎出에 편리하다. | |
40 | Angelicae Gigantis Radix | Angelica Gigas Root | 당귀 | 當歸 | 뿌리 | 이 약은 참당귀 <i>Angelica gigas</i> Nakai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늦가을에 채취 | 수염뿌리와 흙모래, 잎꼭지를 다듬어 물에 씻은 다음 수분이 조금 증발된 뒤에 한 줌씩 묶어 시렁에 얹어 서서히 훈연하여 말리거나 웃부분을 쪼개서 해볕에 말린다. | 生當歸(全當歸): 原藥材에서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밀폐하여 축인 후 薄切片하여 曬乾하거나 低溫乾燥한 후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br/>當歸頭: 當歸를 깨끗이 씻은 후 밀폐하여 축인 후 當歸根頭 부분을 4~6개의 薄切片하여 曬乾하거나 低溫에서 건조한(根頭部分을 세로로 薄切片) 후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br/>當歸身: 原藥材에서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축인 후 鬚根을 잘라내고 當歸身(主根) 부분을 薄切片하여 曬乾하거나 低溫乾燥한 후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br/>當歸尾: 原藥材에서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축인 후 鬚根部分을 취하여 薄切片하여 曬乾하거나 低溫乾燥한다.<br/>酒當歸: 當歸生片에 黃酒를 골고루 뿌려 밀폐하여(4시간 정도) 축인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표면이 微黃火色이 될 정도로 저으면서 炒한다. 손으로 만져보아 약간 촉촉할 때 꺼내 그늘에 널어 건조한다(當歸生片 100kg당 黃酒 10kg).<br/>土炒當歸: 伏龍肝粉을 炒製용기에 넣고 中火로 가열하여 炒한 다음 當歸片을 넣어서 炒하는데, 當歸片 위에 잔잔한 土粉이 끈적끈적하게 많이 달라붙으면(속칭 挂土) 꺼내어 체로 土粉을 쳐서 제거하고, 서늘한 곳에 펼쳐 놓는다(當歸生片 100kg당 土粉 30kg).<br/>當歸炭: 當歸生片을 炒製용기에 넣고 中火로, 표면은 흑갈색, 속은 회갈색이 나타나고, 藥性이 남을 정도로 炒하여 즉시 물을 뿌려 불꽃을 끄고 꺼내 그늘에 널어 건조 | 補血藥. 性味 甘辛溫 入肝腎脾經. 補血活血, 調經止痛, 潤腸通便 → 전통적인 습관상 止血에는 當歸頭를 사용하고, → 補血에는 當歸身, → 破血에는 當歸尾, → 補血活血에는 全當歸를 사용<br/>生品當歸 : 質이 潤하고, 補血, 調經, 潤腸通便 등에 우수하며, 血虛體虧로 인한 面色無華, 身疲體倦 등의 증후, 姙娠衝任의 血虛로 腹中疼痛하는 증상 혹은 血氣凝滯로 인한 少腹疼痛, 産後惡露不盡, 心腹作痛, 血虛便秘 등의 증후에 사용된다.<br/>酒炙當歸 : 活血補血, 調經작용이 증강되어 血滯經閉, 痛經, 月經不調 및 風濕痺痛 등의 증후에 사용된다.<br/>土炒當歸 : 補血 효능 뿐만 아니라 滑腸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血虛이면서도 便溏, 腹中時痛하는 증후와 中焦虛寒으로 인한 腹痛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사용.<br/>炒炭當歸 : 止血和血하는 효능이 주. 崩中漏下, 月經過多 및 血虛出血 등의 증후에 사용. | ||
41 | Aquilariae Lignum | Aloe wood | 침향 | 沈香 | 침수향(沈水香) | 수간목: 수지가 침착된 나무 줄기의 목재 | 이 약은 침향나무 <i>Aquilaria agallocha</i> Roxburgh (팥꽃나무과 Thymeleaceae)의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이다. | 연중 아무 때나 수지가 함유된 목재를 채취 | 줄기와 뿌리의 나무진이 들어있는 부분을 잘라서 땅속에 파묻거나 자연적으로 썩게 하여 나무진이 없는 부분을 될수록 없애고 그늘에서 말린다. | 枯廢白木을 제거하고, 小塊로 쪼개서 사용할 때 搗碎하거나 갈아서 細分 | 沈香 : 불규칙한 極薄片이나 小碎塊 혹은 細分이다. 片面 혹은 塊面은 흑색과 황색이 交錯되어 交理가 있다. 특수한 향기가 있고 맛은 쓰다. 태우면 油가 삼출되고 향기가 濃烈.<br/>白木香 : 형태가 沈香과 비슷하며, 片面 혹은 塊面은 흑갈색과 황색이 서로 뒤섞인 紋理가 있으며, 質은 비교적 가볍다. 특수한 향기가 있고, 맛은 쓴데, 태우면 油가 삼출되며, 진한 매연이 발생하고, 香氣가 濃烈하다. | 性溫 味辛苦 入腎脾胃經. 降氣溫中, 曖腎納氣 → 氣逆喘息, 嘔吐呃逆, 脘腹脹滿, 腰膝虛冷, 大腸虛秘, 小便氣淋, 男子精冷 등에 응용 <br/> 임상에서는 모두 生用하며, 心腹脹悶疼痛 , 胃寒嘔吐呃逆, 腎虛氣逆喘急에 적용. 위의 炮製과정을 거친 후에는 약물이 깨끗해지고, 사용할 경우 정확학 濟量을 보증할 수 있다. |
42 | Araliae Continentalis Radix | Aralia Continentalis Root | 독활 | 獨活 | 뿌리 | 이 약은 독활 <i>Aralia continentalis</i> Kitagawa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이다. | 초봄에 싹이 막 올라왔을 때 또는 늦가을에 줄기와 잎이 시들었을 때 채취 | 수염뿌리와 흙모래를 제거하고 건조기에서 절반쯤 말리고 2~3일간 쌓아두어 부드러워지면 다시 건조기에서 완전히 말린다. | 原藥材를 취하여 雜質과 검게 변질한 것을 제거하고 크기가 비슷한 것끼리 구분한 후 깨끗이 씻어 밀폐하여 축인 후 薄切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하거나 低溫에서 건조한 후 부스러기를 체로 쳐서 제거 | 類圓形의 薄切片으로, 周邊面은 회갈색 혹은 짙은 갈색이며, 세로로 皺紋이 있고, 융기되어 있는 가로로 긴 皮孔과 약간 突起한 잔뿌리의 흔적이 있다. 片面은 회백색 내지 짙은 갈색이고, 여러 개의 황갈색 혹은 갈색의 油點이 보이며, 속심은 灰黃 내지 황갈색이며, 갈색의 環紋이 보인다. 특이한 향기가 있고, 맛은 쓰고 매우며, 혀에 마비감을 약간 준다. | 性味 辛苦微溫 入腎膀胱經 祛風除濕·通痹止痛·解表 → 風寒濕痺, 腰膝疼痛, 少陰伏風頭痛, 風寒表證을 겸한 濕邪 등의 병증에 응용 임상에서는 대부분 生用하는데, 軟化해서 切片하면 調劑와 製劑에 편리. 藥性은 비교적 완화되며 下部의 痹痛을 치료하므로 腰腿疼痛, 兩足痿痹, 不能行走 등의 증후에 사용. | |
43 | Arctii Fructus | Arctium Fruit | 우방자 | 牛蒡子 | 열매 | 이 약은 우엉 <i>Arctium lappa</i> Linné (국화과 Composit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열매차례를 채취하여 | 햇볕에 말려 열매를 털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햇볕에 말린다. | 牛蒡子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체로 흙이나 모래를 쳐내어 물에 담가서 깨끗이 씻어 햇볕에 건조.<br/>炒牛蒡子 : 깨끗한 牛蒡子를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炒하는데, 조금 부풀어 오르고 터지는 소리가 나며 연한 黃火色이 되고 香氣가 나면 꺼내 시원한 그늘에 널어 식힌다. | 牛蒡子 : 이 약물은 긴 도란형으로 약간 납작하고 조금 구부러졌으며 길이 5~7mm, 너비 2~3mm이다. 겉은 회갈색으로 자흑색의 斑點을 띠고 세로로 여러 개의 모서리(稜)가 있으며 중간의 1~2개는 비교적 뚜렷하다. 頂端은 純圓으로 약간 넓으며, 頂面에는 둥근 고리가 있고 중간에는 點狀의 花柱의 흔적이 있다. 基部는 약간 좁고 着生面은 비교적 강하다. 果皮는 단단하고 2개의 子葉이 있으며 엷은 황백색으로 油性이 풍부하다. 냄새가 약간 나고 맛은 약간 쓰다.<br/>炒牛蒡子 : 형태는 生牛蒡子와 같고, 조금 부풀어 오른 연한 黃火色이다. | 性寒 味辛苦 入肺胃經. 疏散風熱, 宣肺利咽, 透疹, 解毒, 散結化痰 → 治 感冒風熱, 咳嗽痰多, 痲疹, 風疹, 咽喉腫痛, 痄腮丹毒, 癰腫瘡毒 등<br/>生品 : 疏散風熱, 解毒散結하는 효능이 우수하여, 風溫의 초기, 痄腮腫痛, 癰毒瘡瘍에 사용.<br/>炒製 : 搗碎와 藥效의 煎出이 쉬어지고, 寒滑한 성질이 완화되어 脾胃가 상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또한 氣味가 香이 있게 되어 宣散作用이 더욱 좋아지므로 解毒透疹, 利咽散結, 化痰止咳하는 효능이 우수하다. | |
44 | Arctii Radix | 우방근 | 牛蒡根 | 악실근(惡實根), 서점근(鼠粘根) | 뿌리 | 이 약은 우엉 <i>Arctium lappa</i> Linné (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이다. |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그대로 또는 쪼개여 말린다. | |||||
45 | Arecae Pericarpium | Areca Peel | 대복피 | 大腹皮 | 열매껍질 | 이 약은 빈랑 (檳榔) <i>Areca catechu</i> Linné (야자과 Palmae)의 열매껍질로서 열매를 삶은 다음 벗겨낸 것이다. 덜 익은 열매에서 얻은 것을 대복피 (大腹皮)라 하고 잘 익은 열매에서 얻은 것을 대복모 (大腹毛)라 한다. | 겨울철부터 다음 봄 사이에 未成熟한 果實을 채취한 다음 삶아 건조하고 두 쪽으로 쪼갠 果皮를 大腹皮라 하고, 봄부터 가을에 성숙한 果實을 채취한 다음 삶아 건조하고 두들겨 果皮를 剝取하여 건조한 것을 大復毛라 한다. | 겨울철부터 이듬해 봄까지 덜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삶은 뒤 말려서 세로로 두쪽을 내고 열매껍질을 벗긴 것을 흔히 '대복피(大腹皮)'라고 하며, 늦봄부터 초가을까지 잘 익은 열매를 채취하여 삶은 뒤 말려서 열매껍질을 벗기고 두드려 풀어서 햇볕에 말린 것을 흔히 '대복모(大腹毛)'라고 한다. | 大腹皮 :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건조한 다음 성글게 갈아서 단단한 껍질을 제거하고 小段으로 자른다.<br/>製大腹皮 : 大腹皮를 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甘草水를 이용하여 약간 浸한 후에 깨끗이 씻은 다음, 설글게 갈아서 小段으로 자르고 체로 쳐서 잔 부스러기는 제거. (大腹皮 100kg당 甘草 6kg) | 大腹皮 : 불규칙한 小段으로 纖維性이며, 황백색 혹은 황갈색이고, 간혹 外果皮와 內果皮의 碎片이 같이 있기도 하다. 質은 가볍고, 柔靭하며, 냄새는 없으며, 맛은 淡하다.<br/>製大腹皮 : 색깔이 약간 짙으며, 맛이 약간 달다. | 性微溫 味辛 入脾胃大腸小腸經. 行氣寬中 利水消腫 → 治 濕阻氣滯, 脘腹脹悶, 大便不爽, 水腫脹滿, 脚氣浮腫, 小便不利 등<br/>生品 : 行氣除滿의 작용이 비교적 강하며, 아울러 利水消腫한다. 濕阻氣滯로 인한 脘腹脹滿 및 水腫尿少의 병증을 치료하는 경우에 가장 적합. 生品은 비록 行氣除脹작용이 비교적 강하지만, 또한 泄한다.<br/>製大腹皮 : 行氣作用이 완화되어 利水하면서도 正氣를 손상하지 않으며, 겸하여 약물을 청결하게 하는 작용도 있다. 脾虛腹脹, 虛證水腫에 사용. | |
46 | Arecae Semen | 빈랑자 | 檳榔子 | 씨 | 이 약은 빈랑 (檳榔) <i>Areca catechu</i> Linné (야자과 Palmae)의 잘 익은 씨로서 열매를 채취하여 물에 삶아 열매껍질을 벗긴 것이다. | 늦봄부터 초가을까지 잘 익은 열매를 채취 | 물에 삶아서 말리고 열매껍질을 벗겨버린 다음 씨만을 모아 해볕에 말린다. | 檳榔: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맑은 물에 15~20일 동안 담그어 心까지 스며들게 축인 후 陰乾하여 薄切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br/>炒檳榔:깨끗한 生片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연한 황색이 되게 炒하여 시원한 그늘에 放冷하여 건조.<br/>焦檳榔:깨끗한 生片을 炒製용기에 넣고 中火로 표면이 焦黃色이 되게 炒한 후 소량의 물을 뿌려 꺼내 시원한 그늘에 放冷하여 건조. | 檳榔 : 원형의 薄片狀 혹은 碎粒狀이고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지름은 약 1.5~3cm 이고, 홍갈색과 회백색을 띠며, 마치 대리석 모양의 꽃무늬처럼 중심에는 가끔 틈이 보인다. 質은 단단하고 氣는 微하며 맛은 떪으면서 약간 쓰다.<br/>炒檳榔 : 형태는 生片과 같고 표면은 자갈색이며 가끔 焦黃班을 나타낸다.<br/>焦檳榔 : 형태는 生片과 같고 표면은 焦褐色이다.<br/><b>[鑑別反應]</b><br/>生品粉末 0.5g에 3~4ml의 물을 넣고, 묽은 黃酸 한 방울을 떨어뜨려 몇 분간 미지근하게 두었다가 여과한다. 이 여과액 한 방울을 유리판 위에 놓고 요오드화비스무드칼륨試液 한방울을 떨어뜨리면 흐려지고 혼탁해진다. 실험하면 石榴紅色의 球狀晶體 혹은 方形晶體를 나타낸다(arecoline에 대한 실험). | 性溫 味辛苦 入胃大腸經. 驅蟲消積, 降氣行 → 治 寄生蟲에 의한 腹內硬結, 食滯, 胃 또는 腹腫痛, 下痢後重, 말라리아 水腫, 脚氣. 淡癖, 癖結 등<br/>生品 : 작용은 비교적 맹렬하고, 殺蟲 降氣 行水消腫 瘧疾 하는 효능이 더욱 우수하며, 絛蟲, 姜片蟲 蛔蟲 및 水腫, 脚氣, 瘧疾에 사용.<br/>炒製 : 藥性이 완화되며, 克伐을 지나치게 하여 正氣를 손상시키는 것을 막아 주기 때문에 대부분 虛症을 겸한 증후에 사용되며, 아울러 복용 후에 나타나는 惡心, 腹瀉, 腹痛의 부작용이 감소된다.<br/>焦檳榔 : 炒檳榔과 焦檳榔의 작용은 비슷하며, 消積行滯하는 데 장점이 있어 食積不消, 痢疾後重을 치료한다. 다만 炒檳榔이 焦檳榔보다는 작용이 약간 강하며 正氣를 伐하는 작용이 더 강하므로 일반적으로 體質이 비교적 강한 경우에는 炒檳榔을 쓰는 것이 낫고, 체질이 비교적 약한 경우에는 焦檳榔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 | ||
48 | Arisaematis Rhizoma | Arisaema Rhizome | 천남성 | 天南星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둥근잎천남성 <i>Arisaema amurense</i> Maximowicz, 천남성 (天南星) <i>Arisaema erubescens</i> Schott 또는 두루미천남성 <i>Arisaema heterophyllum</i> Blume (천남성과 Araceae)의 덩이뿌리로서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것이다. | 가을철과 겨울철에 줄기와 잎이 시들 때 채취 | 물에 씻고 겉껍질과 잔뿌리를 다듬어버린 다음 그대로 또는 4mm아래의 두께로 썰어서 해볕에 말린다. | 生南星: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먼지나 흙을 깨끗이 씻어낸 후 햇볕에 건조.<br/>製南星<br/>(1) 一法<br/>① 淨 選: 原藥材를 체로 쳐서 크기에 따라 분류하고 흙, 모래와 雜質을 제거. ② 浸 漂: 깨끗한 天南星에 물을 부어 약 2~3주일 정도 담그어 두되 매일 2~3번물을 갈아주고, 며칠 경과한 후 흰 거품이 발생하면 白礬粉을 加하여(100 : 2) 하루동안 담그었다 다시 물을 갈아 주되 맛을 보아 麻辣感이 없을 정도로 한다. ③ 薑 · 礬水浸: 신선한 薑片, 白礬粉과 南星을 隔層으로 골고루 항아리에 펴서 넣고, 물을 부어 약물이 잠기게 하여 3~4주 정도 담그어 둔다. ④ 煮 製: 南星과 물을 솥에 붓고 乾心이 없어질 정도로 삼는다. ⑤ 切片과 乾燥: 삶은 南星에서 薑片을 제거하고 그늘에서 60% 정도 말랐을 때 밀폐하여 內外濕度가 일치하면 약 2mm의 薄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天南星 100Kg당 신선한 生薑 25Kg· 白礬 12.5Kg).<br/>(2) 二法<br/> ① 淨選과 浸漂 : 一法과 같다. ② 煮 製 : 天南星에 일정량의 白礬粉과 淸水를 함께 솥에 넣고 心까지 스며들도록 삶아 冷水를 조금 부어 꺼낸다. ③ 切片과 乾燥 : 삶은 天南星을 그늘에 널어서 60% 정도 마르면 다시 2~4일 밀폐하여 內外濕度가 일치하여 축축할 때 약 2mm의 薄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天南星 100Kg당 白礬 12.5Kg). [注意事項] ①浸漂할 때 醱酵현상이 나타나면 즉시 白礬粉(100:2)을 넣는다. ②그늘에서 말릴 때 曝?이나 凍結되는 것을 방지해야 破裂되지 않는다.<br/>膽南星<br/>(1) 醱酵法<br/> ① 粉 碎 : 生南星粉을 80目 채로 쳐서 細粉을 취한다. ② 和 膽 : 生南星의 細粉에 膽汁을 加하여 1:3 비율로 혼합하고 골고루 젓는다. ③ 醱 酵 : 혼합한 膽星을 항아리에 넣고 溫度는 30~37℃, 相對濕度는 70~80%의 조건하에서 약 2~3주일 경과하면, 항아리 속에서 醱酵가 시작되는데, 대량의 물거품이 발생하고 계속해서 南星粉이 밑에 가라앉으며 表層에 淸膽汁이 나타나면 발효가 완료된 것이다.<br/>④ 燉 製: 발효된 혼합물을 다른 항아리에 담아 물이 있는 솥에 넣고 약 10일 정도 삶는다. 매 1~2시간마다 한 번씩 저어주고 네 번(제2일, 제3일, 제4일, 제5일)으로 나누어 濃度가 진해지면 즉시 膽汁을 가하는데(매번 膽汁 100Kg을 넣는다), 계속하여 황갈색의 浸膏狀인 것을 搪瓷盤에 옮겨 60~80℃에서 말리되(약 1주일 소요) 표면이 흑색으로 변할 때까지 건조.(生南星粉 100Kg당 膽汁: 소 혹은 돼지, 양. 700Kg). <br/><b>[注意事項 ]</b><br/> ① 膽汁은 먼저 철사로 된 체에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다시 끓여서 精製하여 약 4/5의 量이 되면 사용. ② 혼합할 때 골고루 젓고, 발효는 여름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br/>(2) 混合蒸製法<br/> ① 粉 碎 : 醱酵法과 같다. ② 和 膽 : 製天南星粉을 취하고(60~80目 체로 친 것), 매회 100Kg의 粉末에 250Kg의 신선한 膽汁(또는 膽汁膏 37.5Kg에 물을 부어 溶化시킨 것)을 혼합하여 골고루 저어 塊狀으로 만든다. ③ 蒸 製 : 膽星을 혼합하여 만든 塊狀을 찜통에 넣고 약 20~30분(물이 끓기 시작하면 시간을 계산한다) 쪄서 꺼낸다. ④ 切塊과 乾燥: 작은 덩어리로 썰어서 햇볕에 건조하거나 또는 불에 쬐어 말린다(製南星粉 100Kg당 신선한 膽汁 250Kg).<br/> <b>[注意事項]</b><br/>신선한 膽汁을 먼저 네겹으로 된 면포에 여과하여 침전물과 불순물을 제거 | 生南星: 扁圓形塊狀으로 지름은 1.5~6Cm, 두께는 1~2Cm이며, 外表는 유백색 또는 연한 황색으로 上面에 凹陷이 있고 주위에는 다수의 痲點이 散希되어있으며, 下面은 圓球狀이고 주위의 어떤 것은 球狀側芽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虎掌南星]이라 한다. 質은 단단하고 斷面은 백색으로 粉質이다. 辛氣가 약간 있고 맛은 辣하며 강렬한 자극감이 있다.<br/>製南星: 腰形片狀으로 片의 두께는 약 1.5mm이고, 표면은 肉色으로 반투명하며 매끄럽다. 質은 단단하면서 바삭바삭하고 약간의 臭氣가 있고 맛은 맵(辛)다.<br/>膽南星: 불규칙한 塊狀 또는 小立方塊로 표면은 흑갈색이고 質은 성글면서 바삭바삭하다. 膽腥氣가 약간 있고 맛은 쓰다.<br/><b>[鑑別反應]</b><br/>膽南星粉末 0.2g에 물 5ml를 부어 흔들어서 여과한다. 이 여과액 2ml를 시험관에 넣어 신선한 Furfural 용액 0.5ml를 가하고 시험관 벽을 따라서 황산 2ml를 가하면 양쪽 경계면에 즉시 홍갈색이 나타난다. | 性溫 味苦辛 有毒 入肺 · 肝 · 脾經 燥濕化痰 · 祛風解痙 · 消腫散結 → 治頑痰咳嗽, 胸膈脹悶 中風痰壅, 口眼喎斜, 半身不遂, 癲癎, 驚風, 破傷風, 風痰眩暈, 癰疽痰核 및 蛇蟲咬傷 등<br/>生品 : 劇毒性의 약물이므로 內服하면 咽喉를 자극하여 失音과 口舌麻木 등의 증상을 야기시킬 수 있음. 주로 外用으로 많이 사용하는데, 外用의 경우에는 消腫散結하는 효능이 좋아서 주로 癰疽, 瘰癧, 瘡癤, 蛇蟲咬傷 등의 증후에 활용. 內服도 가능한데, 내복하는 경우에 祛風止痙하는 효능이 주가 되며, 주로 破傷風, 中風抽搐, 癲癎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br/>製南星 : 生薑과 白礬으로 포제한 뒤 毒性이감소되고 燥濕化痰의 작용을 증강시켜서 주로 頑痰咳嗽, 胸膈腸悶 , 痰阻眩暈 등의 증후에 적용.<br/>膽南星 : 毒性이 감약되고, 味가 苦하며 性이 凉으로 변화되어 그 燥烈한 약성이 완화되므로, 오직 淸化熱痰 · 熄風定驚(抗驚厥)하는 작용이 증강되어 주로 痰熱咳喘, 急驚風, 癲癎 등의 증상에 적용. | |
49 | Armeniacae Semen | Apricot Kernel | 행인 | 杏仁 | 씨 | 이 약은 살구나무 <i>Prunus armeniaca</i> Linné var. <i>ansu</i> Maximowicz, 개살구나무 <i>Prunus mandshurica</i> Koehne var. <i>glabra</i> Nakai, 시베리아살구 <i>Prunus sibirica</i> Linné 또는 아르메니아살구 <i>Prunus armeniaca</i> Linné (장미과 Rosaceae)의 잘 익은 씨이다. | 여름에 果實이 성숙할 때 果肉와 核의 穀을 제거하고 種仁만 취한다. | 과육과 핵껍질을 제거하고 종자를 꺼내 햇볕에 말린다. | ||||
50 | Artemisiae Annuae Herba | 청호 | 靑蒿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개똥쑥 <i>Artemisia annua</i> Linné 또는 개사철쑥 <i>Artemisia apiacea</i> Hance (국화과 Compositae)의 지상부이다. | 가을철에 꽃이 완전히 피었을 때 채취 | 오래된 줄기를 제거하고 그늘에서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除去)하고 절단(切斷)하여 생용(生用)하거나, 별혈초(鱉血炒)하여 사용한다. | ||||
51 | Artemisiae Anomalae Herba | 유기노 | 劉寄奴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기호(寄蒿) <i>Artemisia anomala</i> S. Moore (국화과 Compositae)의 전초이다. | 8~9월에 채취 | 물에 재빨리 씻은 다음 겉껍질을 다듬어버리고 속껍질만을 벗겨 해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除去)하고 세절(細切)하거나 주증(酒蒸) 혹은 밀구(蜜灸)하여 사용한다. | ||||
52 | Artemisiae Argyi Folium | 애엽 | 艾葉 | 어린줄기 | 이 약은 황해쑥 <i>Artemisia argyi</i> Lev. et Vant., 쑥 <i>Artemisia princeps</i> Pampanini 또는 산쑥 <i>Artemisia montana</i> Pampani (국화과 Compositae)의 잎 및 어린줄기이다. | 여름철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 | 이물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除去)하고 생용(生用)하거나, 지혈(止血)에는 초묘(醋妙)하여 사용한다. | ||||
53 | Artemisiae Capillaris Herba | 인진호 | 茵蔯蒿 | 인진(茵陳)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사철쑥 <i>Artemisia capillaris</i> Thunberg (국화과 Compositae)의 지상부이다. 봄에 채취한 것을 ‘면인진(綿茵蔯)’이라 하고, 가을에 채취한 것을 ‘인진호(茵蔯蒿)’라 한다. | 가을철에 꽃봉오리가 발달하여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채취 | 이물질과 오래된 줄기를 제거하고 해볕에 말리거나 그늘에 말린다. | ||||
54 | Artemisiae Iwayomogii Herba | 한인진 | 韓茵蔯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더위지기 <i>Artemisia iwayomogi</i> Kitamura (국화과 Compositae)의 지상부이다. | 그늘에서 말린다. | ||||||
55 | Asiasari Radix et Rhizoma | Asiasarum Root and Rhizome | 세신 | 細辛 | 뿌리 | 이 약은 민족도리풀 <i>Asiasarum heterotropoides</i> F. Maekawa var. <i>mandshuricum</i> F. Maekawa 또는 서울족도리풀 <i>Asiasarum sieboldii</i> Miquel var. <i>seoulense</i> Nakai (쥐방울과 Aristolochiace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여름철에 열매가 익었을 때 또는 초가을에 채취하여 | 뿌리만을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다. | ||||
56 | Asini Corii Colla | 아교 | 阿膠 | 가죽 | 이 약은 당나귀 <i>Equus asinus</i> Linne (말과 Equidae) 또는 소 <i>Bos taurus</i> Linné var. <i>domesticus</i> Gmelin (소과 Bovidae)의 가죽을 물로 가열한 다음 추출하여 지방을 제거하고 농축건조하여 만든 교질이다. 이 약은 건조한 것을 정량할 때 총질소(N) 함유량이 13.0 % 이상이어야 한다. | 짐승의 힘줄과 귀, 가죽, 삭뼈, 뼈 등을 석회유로 처리하여 기름을 뺀 다음 염산으로 중화하고 끓인다. 끓인액을 거르고 약한 불에 졸인 다음 일정한 틀에 넣어 식혀 굳히고 적당한 크기로 잘라 그늘에서 말린다. | 切製阿膠(阿膠丁): 原藥材를 밀폐하여 연하게 하거나 혹은 文火에 쬐여 부드럽게 한 후 약 6~10mm의 小塊로 자른다.<br/>蛤粉炒阿膠 : 적당량의 蛤粉(조개가루)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炒한 후 깨끗한 阿膠 小塊를 넣고(이때 화력은 약해야 됨) 저으면서 炒하는데, 부풀어 오르고 圓珠狀이 되며 표면이 회백색 혹은 황백색이 되면 꺼내 체로 쳐서 蛤粉을 제거하고 시원한 그늘에 放冷. <br/>注意事項 : ①燙製할 경우 불길을 잘 조정해야 하는데, 조금만 불길이 강해도 珠가 되지 않고 표면은 쉽게 僬化되고 부서지며, 속이 검게 된다.<br/>②蛤粉이 過熱된 경우 적량의 시원한 蛤粉을 넣어 온도를 조절한다.<br/>蒲黃炒阿膠 : 蒲黃을 炒製용기에 넣고 中火로 가열하여 약간 變色이 되면 小塊阿膠를 넣고 끊임없이 뒤집으면서 炒하는데, 부풀어 오르고 圓球形으로 되며 내부의 속심이 흐물흐물한 것이 굳을 때까치 炒한 다음 꺼내어 蒲黃을 체로 쳐서 제거하고, 시원한 곳에 放冷. | 切製阿膠 : 小方塊狀으로 약 6~10mm의 小塊이고 烏黑色이며 광택이 약간있다. 質은 견고하고 단단하며 비린내가 나고, 맛은 淡하며 粘性이 있다.<br/>蛤粉炒阿膠 : 圓珠狀으로 회백색이며 표면은 거칠다. 質은 파삭파삭하고 쉽게 부서지며 破面은 벌집상이다. 氣는 微弱하고 맛은 微甛하다.<br/>蒲黃炒阿膠 : 표면이 黃土色 혹은 짙은 갈색이다. 圓球形이고 속이 흐물흐물한 것이 없으며, 質이 성글고 부풀어 있으며, 僬枯는 없고 쉽게 부서진다. | 性平 味甘 入肺肝腎經. 補血·止血·滋陰潤燥→ 治 血虛萎黃, 眩暈心悸, 肌痿無力, 心燔不眼, 虛風內動, 肺燥咳嗽, 勞嗽喀血, 吐血尿血, 便血崩漏, 姙娠胎漏 등.<br/>阿膠丁 : 滋陰補血하는 데 장점.血虛萎黃, 眩暈心悸, 心燔失眼, 虛風內動,溫燥傷肺, 乾咳無痰 등에 응용.<br/>蛤粉炒 : 滋膩한 성질이 감약되고, 동시에 불량한 氣味가 교정. 益肺潤燥하는 효능이 좋아서 陰虛咳嗽, 久咳少痰 혹은 痰中帶血의 증상에 사용.<br/>蒲黃炒阿膠 : 止血作用이 증강되고 粉碎와 配劑成藥이 편리하여 주로 陰虛咳血, 崩漏, 便血의 증상에 적용. | |||
57 | Asparagi Tuber | Asparagus Tuber | 천문동 | 天門冬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천문동 <i>Asparagus cochinchinensis</i> Merrill (백합과 Liliaceae)의 덩이뿌리로서 뜨거운 물로 삶거나 찐 뒤에 겉껍질을 제거하고 말린 것이다. | 가을철과 겨울철에 채취 | 물에 씻은 다음 잔뿌리와 뿌리의 꼭대기를 잘라버리고 덩이뿌리만을 끓는물에 잠시 넣어 데치거나 증기에 쪄서 맑은물에 옮겨 겉껍질을 벗기고 불이나 해볕에서 말린다. |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과 泛油(범유)하여 검게 변한 것을 제거한 후 빠르게 洗淨해서 반쯤 햇볕에 건조한 다음 薄片으로 썰어 다시 건조. | 類圓形의 薄片이고, 주변은 황백색 혹은 연한 갈색이며, 각질 모양이고, 반투명으로 약간 점성을 띄고 있으며, 중심은 황백색이다. 맛은 달고, 약간 쓰다. | 性寒 味甘苦 入肺 · 腎經. 淸肺生津, 滋陰潤燥 → 治燥咳痰粘, 勞嗽喀血, 津傷口渴, 內熱消渴, 腸燥便秘 등 이 약물은 産地에서 가공할 때 이미 끓는 물 중에서 약간 끓이거나 혹은 쪄서 속심까지 蒸透하는데, 이렇게 하면 外皮를 제거하고 건조하는데 편리하며, 粘膩한 약성을 줄일 수 있다. | |
58 | Asteris Radix et Rhizoma | Aster Root and Rhizome | 자완 | 紫菀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개미취 <i>Aster tataricus</i> Linné fil. (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 | 마디가 있는 뿌리줄기(흔히 ‘모근母根’이라고 부름)와 흙모래를 제거하고 땋듯이 엮어서 햇볕에 말리거나 그대로 해볕에 말린다. | 밀자완(蜜紫莞) : 자완(紫莞)의 생품은 산한(散寒), 강기(降氣), 화담(化痰) 작용이 있고 폐기를 사함(사폐기(瀉肺氣)). 그러나 밀자(蜜炙)하면 사폐 작용이 윤폐(潤肺)로 바뀌어 지해(止咳) 작용이 뛰어나므로 폐허구해(肺虛久咳) 또는 폐허해혈(肺虛咳血)에 씀. 깨끗한 자완편을 끓는 물에 탄 연밀(煉蜜)과 섞어 흡수시킨 후 약한 불로 볶아 갈색이 되고 손에 달라붙지 않을 정도가 되면 꺼내서 식힌 후 저장함. | |||
59 | Astragali Complanati Semen | 사원자 | 沙苑子 | 동질려(潼蒺藜), 사원질려(沙苑蒺藜) | 씨 | 이 약은 편경황기(扁莖黃芪) <i>Astragalus complanatus</i> R. Brown (콩과 Leguminosae)의 씨이다. |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열매가 잘 익고 아직 벌어지지 않았을 때 | 햇볕에 말리고 종자를 털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 沙苑子 : 原藥材에서 흙을 체로 쳐내고 맑은 물로 깨끗이 씻어낸 다음 햇볕에 건조.<br/>鹽沙苑子 : 깨끗한 沙苑子를 용기에 담고 일정량의 식염수용액을 뿌려 고루 축인 다음,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표면이 약간 黃火色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향기가 날 때까지 炒하여 서늘한 그늘에 放冷하여 건조한다(沙苑子 100kg당 食鹽 2.5kg) | 沙苑子 : 건조한 種子는 扁腎臟形으로 표면은 녹갈색 혹은 회갈색에 광택이 있고, 臍部는 속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귤색을 띤다. 質은 단단하고 破開 후의 種仁은 열은 황색의 二瓣이다. 無臭이며 味는 淡하고 씹으면 콩 비린내가 난다.<br/>鹽沙苑子 : 형태는 炒沙苑子生品과 같으나 부풀어있고 색은 짙게 변하였으며 짠맛이 약간 있다. | 性溫 味甘 入肝腎經. 補腎固精 · 縮尿 · 養肝明目 → 治 肝腎不足, 腰膝痠痛, 目昏, 遺精早泄, 小便頻數, 遺尿, 尿血, 白帶 등<br/>生品 : 溫하되 燥하지 않고, 補腎助陽 작용은 완화하며 養肝明目의 힘은 강하여 肝虛目昏의 경우에 많이 사용.<br/>鹽水製 : 性이 더욱 平和하게 되어 陰陽을 平補할 수 있으며, 腎에 작용하여 補腎固精 · 縮尿의 효능이 증가되므로 腎虛腰痛, 夢遺滑精, 尿頻, 遺尿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 | |
60 | Astragali Radix | Astragalus Root | 황기 | 黃芪 | 뿌리 | 이 약은 황기 <i>Astragalus membranaceus</i> Bunge 또는 몽골황기 (蒙古黃芪) <i>Astragalus membranaceus</i> Bunge var. <i>mongholicus</i> Hsiao (콩과 Leguminos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봄과 가을에 3~4년근을 채취 | 물에 씻은 다음 줄기와 수염뿌리를 다듬어 버리고 곧게 펴서 해볕에 말린다. | 黃芪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殘莖을 잘라버린 다음,크기에 따라 분류하여 깨끗이 씻어 축인 후 내외습도가 일치하면 약 2.5mm의 厚切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br/>蜜黃芪 : 일정량의 煉蜜에 적량의 끓인 물로 희석한 후 黃芪生片에 고루 뿌려 밀 폐하여 축인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표면이 황금색을 띠고 香氣가 나며 손에 들러붙지 않을 정도 炒하여 그늘에 널어 放冷한다. (黃芪片 100kg 당 煉熟蜂蜜 25kg) | 性微溫 味甘 入肺.脾經. 補氣昇陽, 固表止汗 利尿, 托毒排膿, 斂瘡生肌 → 治自汗 盜汗 血痺 浮腫 癰疽不潰 潰久不斂 內傷勞倦 脾虛泄瀉 脫肛 氣虛血脫 崩帶 일체 氣衰血虛 등의 병증을 치료.<br/>生黃芪 : 固表止汗, 利水消腫, 托毒排膿에 주로 적용되며, 衛氣不固로 自汗이 때때로 나는 증상, 體虛感冒, 水腫, 瘡瘍難潰 등의 증상에 적용.<br/>蜜製 : 性味가 비교적 甘. 溫해져 補氣和中 補中 의 작용이 증강되므로 氣虛乏力, 食少便溏 등의 증상에 많이 사용 | ||
61 | Atractylodis Rhizoma | Atractylodes Rhizome | 창출 | 蒼朮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모창출 (茅蒼朮) <i>Atractylodes lancea</i> De Candlle 또는 북창출 (北蒼朮) <i>Atractylodes chinensis</i> Koidzumi (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줄기이다. |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 | 뿌리줄기를 캐여 물에 씻은 다음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그대로 해볕에 말린다. | 蒼朮 :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물에 담그어 깨끗이 씻어 축인 후 厚片으로 썰어서 건조.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한다.<br/>米泔水製蒼朮 : 蒼朮片을 취하여 米泔水(쌀뜨물)에 수시간 동안 담그었다가 꺼내어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炒乾한다.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한다.<br/>麩炒蒼朮 : 먼저 炒製용기를 달구어 麥麩를 넣고 中火로 가열하여 연기가 날 때 蒼朮片을 넣어 계속 뒤집으면서 표면이 진한 황색이 될 정도로 炒하여 체로 쳐서 麥麩를 제거하고 서늘한 곳에 放冷한다(蒼朮片 100kg당 麥麩 10~15kg)<br/>焦蒼朮 : 蒼朮片을 초제 용기에 넣고 中火로 가열하여 갈색이 될 정도로 炒한 다음 약간의 淸水를 뿌리고 다시 文火로 炒乾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곳에 放冷한다.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한다. | 蒼朮片 : 불규칙한 厚片이며, 모서리는 가지런하지 않고, 주변은 회갈색이며, 이 있고 皺紋이 있고 橫曲紋이 있다. 片面은 황백색 혹은 회백색이고, 多數의 橙黃色 혹은 홍갈색의 油點(속칭 朱砂點)이 있으며, 白毛狀의 結晶(속칭 起霜)이 析出된다. 質은 堅實하고, 향기는 특이하며, 味는 약간 달고 辛苦하다.<br/>米泔水製蒼朮 : 표면은 황색 혹은 土黃色이다.<br/>麩炒蒼朮 : 표면은 황색 혹은 焦黃色이며, 향기는 生品보다 진하다.<br/>焦蒼朮 : 표면은 焦褐色이고, 焦香氣가 있다. | 性溫 味辛苦 入脾·胃·肝經 . 燥濕健脾·祛風·散寒·明目 → 治 脘腹脹滿, 泄瀉, 水腫, 脚氣痿축, 風濕痺痛, 風寒感冒, 雀目夜盲 등<br/>生品 : 溫燥하고 辛熱하여 燥濕·祛風·散寒하는 힘이 강하다. 주로 風濕痺痛, 肌膚痲木不仁, 脚膝疼痛, 風寒感冒, 肢體疼痛, 濕溫發熱, 肢節酸痛 등의 증상에 사용.<br/>米泔水製 : 효능은 生品과 같으나, 米泔水에 담근 후에는 精油成分이 많이 줄어들어 燥性이 완화되고, 辛熱溫燥의 부작용을 약화시키며, 和胃작용을 하게 된다.<br/>麩炒 : 辛性이 減弱되고 燥性이 완화되며, 氣는 芳香性으로 변하고, 健脾和胃의 작용이 증강된다. 焦蒼朮은 辛燥한 성질이 크게 減弱되어서 固腸止瀉하는 효능을 주로 하므로 脾虛泄瀉, 久瀉, 혹은 婦人의 淋帶白濁 등의 증상에 사용 | |
62 | Atractylodis Rhizoma Alba | Atractylodes Rhizome White | 백출 | 白朮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삽주 <i>Atractylodes japonica</i> Koidzumi 또는 백출 (白朮) <i>Atractylodes macrocephala</i> Koidzumi (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겨울철에 아래쪽 잎이 노랗게 마르고 위쪽 잎이 시들어갈 때 채취 | 흙모래를 제거하고 불에 쪼여 말리거나 햇볕에 말린 다음 수염뿌리를 제거한다. | 白朮 : 原藥材의 잡질을 골라내고,淸水에 12~24시간 담그어 70~80% 정도 수분이 스며들었을 때,깨끗한 물로 흙을 씻어서 건져 24~32시간 밀폐하여 內外 濕度가 일치하게 축인 후 厚片으로 썰어 햇별에 건조<br/>焦白朮 : 깨끗한 白朮片을 炒製용기에 넣고 武火로 표면이 焦黃色을 띠고 향기가 나면 소량의 물을 뿌려 불꽃을 끄고 그늘진 곳에 放冷한다.<br/>麩白朮 : 炒製용기를 中火로 가열한 후, 정량의 麩皮를 살포하여 麩皮가 焦化하고 진한 연기가 날 때 白朮片을 넣고 빨리 저으면서 짙은 黃火色이 나타나면 체로 焦麩皮를 쳐서 제거하고, 그늘진 곳에 放冷한다(白朮片 100kg당 麩皮 10kg).<br/>土炒白朮 : 정량의 竈心土(伏龍肝)를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볶아 유연해지면 白 朮片을 넣고 炒볶하는데 표면에 흙이 입혀져 焦黃色이 나타나고 향기가 나면 체로 竈 心土를 쳐서 제거하고 그늘진 곳에 放冷한다(白朮片 100kg당 竈心土 20kg). | 白朮:불규칙한 片狀으로 길이는 약 3~4cm 이고 두께는 약 3mm. 표면은 황백색 혹은 연한 황갈색이고 거칠며 평평하지 않고 중간은 갈색 고리무늬 (形成層)이며 중심은 放射性 혹은 회황색으로 번들거리는 쭈글쭈글한 주름무늬가 있으며,중간은 구부러지고 깊은 缺裂이 있으며 瘤狀突起를 볼 수 있다. 質은 堅實하고 氣 는 淸香하며 맛은 달면서 약간 맵다.<br/>焦白朮:형태는 白朮片과 같고,표면은 焦黃色 혹은 焦黑色이며 斷面은 갈색. 質은 파삭파삭하며 약간 焦香氣가 있고 맛은 焦苦하다.<br/>麩白朮 : 형태는 白朮片과 같고 표면은 황갈색 혹은 갈색을 띠며 가끔 焦斑이 보이고 갈라진 틈이 많으며 油室點이 나타나고 가끔 焦麩末이 부착되어 있다. 質은 단단 하고 焦香氣가 있다.<br/>土炒白朮:형태는 白朮片과 같고,표면은 焦黃土色이며 가는 土末이 부착되어 있다. | 味苦甘 性溫 入脾胃經. 健脾益氣 燥濕利水 止汗 安胎 → 脾虚食少 腹脹泄濱 痰飮眩棒 水腫 自汗 胎動不安 등의 병증에 적용<br/>生白朮은 健脾燥濕 利水消腫의 효능이 주가 되어 疲飮,水腫 및 風濕擦痛 등의 증후에 사용<br/>焦白朮은 炒한 후에 精油가 약 15% 정도 감소되어 胃腸에 대한 자극이 감소되므로 약성이 완화<br/>麩製 후 燥性을 완화시킬 수 있고 麥麩의 성질로 인하여 健脾益氣 작용이 증강되어 脾胃不和 運化失常으로 발생하는 食少脹滿,倦怠乏 力하는 증상 및 表虚自汗,胎動不安 등의 증상에 사용<br/>土製品 : 土氣의 助脾하는 힘을 빌려서 補脾止瀉하는 효능이 우수하며, 脾虚食少, 泄瀉便糖 등의 증후에 적용 | |
63 | Aucklandiae Radix | 목향 | 木香 | 광목향(廣木香), 운목향(雲木香) | 뿌리 | 이 약은 목향(木香) <i>Aucklandia lappa</i> Decne. (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로 거친 껍질을 제거한 것이다. | 가을철과 겨울철에 채취 | 흙모래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길게 자르고, 큰 것은 세로로 쪼개어 말린 다음 코르크를 털어낸다. | 木 香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굵기에 따라 분류한 다음 깨끗이 씻어 재어 축인 후 약 1.5~3mm의 厚切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 혹은 2~9mm 의 조각으로 자른다.<br/>煨木香 : 깨끗한 生片을 종이(吸油紙)가 깔려 있는 채로 위에 평평하게 깔고, 그 위에 종이 한 층 木香 한 층을 깐다. 이런 식의 隔層으로 하고 아래위에 평탄한 木板을 대어 밧줄로 단단하게 묶은 다음 烘乾室이나 온도가 비교적 높은 곳에 넣어 煨하되 木香이 함유하고 있는 油分을 종이가 전부 흡수하면 꺼내 종이를 제거<br/>麩炒木香 : 먼저 炒製용기를 가열하고, 일정량의 麩皮를 뿌려 넣고 中火로 가열하여 연기가 날 때 木香片을 넣어서 신속하게 뒤섞으면서 짙은 황색이 되고 焦班이 나타날 때까지 炒한 다음 재빨리 꺼내어 焦麩皮를 체로 쳐서 제거하고 서늘한 곳에 放冷한다(木香 100kg 당 麩皮 25kg). | 木 香 : 圓形片狀으로 지름의 크기는 일정하지 않고 표면은 회갈색 혹은 황갈색이며, 중심부위에는 뚜렷하게 菊花心狀의 방사무늬가 있고 중간중간에 어두운 갈색 혹은 회갈색의 고리무늬가 있으며 갈색의 油點이 흩어져 있다. 外皮의 주변은 황갈색에서 회갈색이 나타나며 세로로 된 주름이 있다. 質은 단단하며 특이한 香氣가 있고 맛은 쓰다.<br/>煨木香 : 형태는 生片과 같고 황갈색이며 香氣는 미약하다.<br/>麩炒木香 : 짙은 황색을 띠고 약간 焦斑이 있으며, 氣는 焦香을 띤다.<br/>鑑別反應 : 70% 에틸알콜에 담가서 부드러워진 木香生品에 15%의 –naphho 및 黃酸 한 방울을 떨어뜨리면 즉시 자색이 나타난다. | 味苦寒 性溫 入脾胃大腸膽經 行氣止痛 健脾消食<br/>生用 : 食慾不振, 食積不化, 脘腹脹通, 腸嗚腹泄, 痢急後重, 脇肋脹痛 등에 응용<br/>煨製 : 油分을 저하시켜 實腸止瀉痢의 작용을 증강. 脾虛泄瀉, 腸嗚腹痛 등에 응용<br/>麩炒木香 : 炮製作用이 煨木香과 동일. | |
64 | Aurantii Fructus Immaturus | 지각 | 枳殼 | 지각(只殼) | 덜 익은 열매 | 이 약은 광귤나무 <i>Citrus aurantium</i> Linné, 하귤 <i>Citrus natsudaidai</i> Hayata 또는 그 재배변종 (운향과 Rutaceae)의 덜 익은 열매이다. | 7월에 열매껍질이 아직 녹색일 때 채취 | 가운데를 가로로 썰어 두 쪽으로 나누고 햇볕에 말리거나 저온건조한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세정윤투(洗淨潤透)시킨 다음 절편(切片)하고 건조한 후 양핵(瓤核)을 키로 쳐서 제거하고 사용하거나, 부초(麩炒)하여 사용한다. | |||
67 | Bambusae Concretio Silicea | 천축황 | 天竺黃 | 축황(竺黃) | 덩어리 | 이 약은 왕대 <i>Phyllostachys bambusoides</i> Siebold et Zuccarinii, 청피죽(靑皮竹) <i>Bambusus textilis</i> 또는 화사노죽(華思勞竹) <i>Schizostachyrum chinense</i> (벼과 Gramineae)의 마디속에 생긴 덩어리이거나 작은 알맹이이다. | 여름~가을에 채취하나 겨울에 채취하는 것을 良品으로 한다. | 말라죽은 대를 잘라 줄기를 쪼개고 안에 들어있던 마른 분비물만을 꺼내여 그늘에서 말린다. | 天竺黃 : 잡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br/>薑炒天竺黃(薑竹黃) : 깨끗한 天竺黃과 生薑汁을 잘 섞은 다음, 솥에 넣고 文火로 炒乾한다. 天竺黃 10㎏당 生薑 1㎏을 배합하는데, 生薑을 짓찧어 적당량의 끓인 물을 넣고 汁을 짜서 사용. | 天竺黃 : 불규칙한 扁塊 또는 顆粒으로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며 표면은 회남색, 회황색 또는 회백색으로 반투명하고 약간 광택을 띤다. 質은 가볍고,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워 잘 破碎되며 吸濕性이 강하다.<br/>薑炒天竺黃(薑竹黃) : 형태는 天竺黃과 같으며, 맛이 약간 매워 生薑의 맛이 느껴진다. | 性寒 味甘 入心·肝·膽經. 淸熱化痰·淸心定驚 → 治 熱病昏譫, 中風痰厥, 小兒驚風, 抽搐 등.<br/>薑製한 후에는 天竺黃의 寒性이 완화되고 化痰止咳하는 효능이 증강. | |
68 | Bambusae Sulcus | 죽력 | 竹瀝 | 즙액 | 이 약은 솜대 <i>Phllylostachys nigra</i> Munro var. <i>henonis</i> Stapf 또는 왕대 <i>Phyllostachys bambusoides</i> Sieb. et Zucc. (벼과 Gramineae)의 줄기에 열을 가할 때 유출되는 즙액이다. | 鮮竹을 취하여 깨끗이 씻어 兩節의 사이를 톱으로 자른 다음 節이 있는 중간을 직접 세로로 두 개로 쪼갠 다음 걸쳐두고 文火로 가열하여 양쪽 끝에서 흘러나오는 液體를 용기에 받는다. 또는 다른 방법으로는 신선한 대나무의 줄기를 약 0.5㎝의 小段으로 잘라서 쪼갠 다음 깨끗이 씻어 항아리(혹은 단지)에 세로로 쑤셔 넣고 항아리가 가득 차면 항아리 입구를 아래로 하여 걸쳐놓고 항아리의 위쪽과 주위에는 톱밥과 땔나무(장작)로 단단히 덮어 둔다. 항아리 입구 아래쪽에는 흘러나오는 액체를 담을 그릇을 둔 다음 위쪽에서 불을 이용하여 가열하면 항아리 입구 아래에서는 汁液이 방울방울 흘러나오는데, 항아리 중에 竹汁이 다 흘러나올 때까지 한 다음 그 竹液을 모은 것이 竹瀝이다. | 청황색 또는 황갈색의 液汁로 투명하고 탄 냄새가 난다. 맛은 쓰고 약간 달다. | 性寒 味甘 入肺·胃經. 淸熱滑痰·鎭驚通竅 → 治 熱咳痰稠, 痰熱蒙蔽淸竅諸證, 中風痰迷, 驚癎癲狂 등.<br/>신선한 대나무를 태워서 만들어낸 竹瀝은 用藥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 ||||
69 | Batryticatus Bombyx | 백강잠 | 白殭蠶 | 강잠(僵蠶) | 충체 | 이 약은 누에 <i>Bombyx mori</i> (Linné) (누에과 Bombycidae)의 유충이 백강병균 <i>Beauveria bassiana</i> (Bals.) Vuill. (모닐리아과 Moniliaceae)의 감염에 의한 백강병으로 경직사한 몸체이다. | 흰가루병에 걸려 죽은 새끼누에를 석회속에 파묻어 물기를 없앤 다음 석회를 털어버리고 해볕이나 불에서 말린다. | 白殭蠶 : 原藥材를 취하여 먼지, 잡질과 絲毛를 제거한 후, 깨끗이 씻어 햇볕에 건조.<br/>麩白殭蠶 : 炒製용기를 中火로 가열한 후, 정량의 麩皮를 골고루 뿌리고 麩皮가 焦化하여 진한 연기가 나면 순수한 殭蠶을 집어넣어 빨리 저으면서 炒하는데 표면엔 褐黃火色이 나타나면 꺼내 체로 쳐서 焦麩 찌꺼기를 제거하고 시원한 그늘에 放冷(殭蠶 100㎏당 麩皮 10㎏). | 白殭蠶 : 구부러진 圓條節狀으로 길이는 3~4.5㎝이고 회백색이다. 표면에 주름이 있고 頭· 足 體 등을 판별할 수 있으며 頭部는 비교적 둥글고 腹部 양측에 짧은 다리 여덟 쌍이 있고, 꼬리 부분에는 二分 정도의 歧狀이 나타난다. 質은 단단하면서 잘 부서지며 斷面은 평탄하고 매끄러우며 네 개의 褐色亮圈이 있다. 조금 腐臭한 氣가 있고 味는 微鹹하다.<br/>麩白殭蠶 : 형태는 生殭蠶과 같고 표면은 褐黃火色이다. 가끔 焦黃斑 및 焦麩末 등이 보이며 焦腥氣가 조금 있다. | 性平 味鹹辛 入肝肺胃經. 祛風解痙 化痰散結 → 治 中風失音, 驚癎, 喉風, 喉痺, 瘰癧結核, 風瘡癮疹, 丹毒, 乳腺炎 등.<br/>生品 : 辛散力이 비교적 강하고 藥力이 峻猛하며, 주로 驚癎抽搐, 風疹瘙痒, 肝風頭痛 등에 응용.<br/>麩炒製 : 消腥矯臭의 작용으로 맛과 향이 좋아지며, 粉碎에도 유리. 효능적인 측면에서는 疏風解表하는 효력이 약간 떨어지게 되고 化痰散結하는 효능에 장점이 있어서 주로 瘰癧, 痰核, 中風失音 등에 응용. | ||
70 | Belamcandae Rhizoma | 사간 | 射干 | 자호접(紫蝴蝶)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범부채 <i>Belamcanda chinensis</i> Leman. (붓꽃과 Irid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초봄에 싹이 막 올라왔을 때 또는 늦가을에 줄기와 잎이 시들었을 때 채취 | 물에 씻은 다음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뿌리줄기만을 해볕에 말린다. | 原藥材의 殘莖과 잡질을 제거하고 1~2시간 물에 담그었다가 깨끗이 씻어 축인 후 薄片으로 썰어서 건조 | 불규칙하거나 類圓形의 薄片으로 직경은 0.7~2cm이다. 片面은 황색이고 顆粒狀 혹은 根脈紋이다. 주변은 황갈색, 짙은 갈색 혹은 검은 갈색이고, 가지런하지 않고, 質은 단단하다. 氣는 약하고 맛은 쓰고 약간 맵다. | 性寒 味苦 入肺經. 淸熱解毒, 利咽喉, 消痰涎 → 熱毒痰火鬱結, 咽喉腫痛, 痰涎壅盛, 咳嗽氣喘을 치료 | |
72 | Benincasae Exocarpium | 동과피 | 冬瓜皮 | 열매껍질 | 이 약은 동아 <i>Benincasa cerifera</i> Savi (박과 Cucurbitaceae)의 열매의 겉껍질이다. | 식용 동과를 씻어서 바깥층 열매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 ||||||
73 | Benincasae Semen | 동과자 | 冬瓜子 | 동과인(冬瓜仁), 백과자(白瓜子) | 씨 | 이 약은 동아 <i>Benincasa cerifera</i> Savi (박과 Cucurbitaceae)의 씨이다. | 8~9월 사이에 성숙한 冬瓜를 채취 | 씨를 꺼내여 물에 씻고 해볕에 말린다. | 冬瓜子 : 原藥材에서 잡질을 골라내고 未成熟한 種子와 空殼을 키로 쳐서 제거하여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건조.<br/>炒冬瓜子 : 깨끗한 冬瓜子를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약간 부풀어오르고 표면에 微黃火色이 나타날 정도로 炒하여 시원한 그늘에 放冷. | 冬瓜子 : 평평하고 긴 타원형의 粒狀으로 길이는 1~1.2cm이며 황백색이다. 한 쪽 끝은 鈍圓이고, 다른 한쪽 끝은 뾰족하며, 뾰족한 끝에는 두 개의 작은 突起가 있다. 가장자리는 매끄럽거나(單邊冬瓜子) 혹은 양쪽 면의 가장자리에 모두 하나의 環形을 가지고 있다(雙邊冬瓜子). 껍질을 제거하면 유백색의 種仁이 보이고 油性이 풍부하며 無臭이고 味는 微甘하다.<br/>炒冬瓜子 : 형태는 生冬瓜子와 같고, 표면은 微黃火色이다. | 性微寒 味甘 入肺大腸經. 淸肺化痰 排膿利濕 → 治 痰熱咳嗽, 肺癰, 腸癰, 淋病, 水腫, 脚氣, 痔瘡, 鼻面酒皻 등<br/>生品 : 淸肺化痰 消癰排膿하는데 우수하여 주로 肺熱咳嗽, 肺癰, 腸癰의 初起에 많이 사용<br/>炒 : 寒性이 減弱되고 芳香이 있어 啓脾하며, 滲濕化濁하는데 뛰어나므로 濕熱帶下 白濁에 많이 사용 | |
74 | Benzoinum | Benzoin | 안식향 | 安息香 | 수지: 나무에서 분비하는 점성도가 높은 액체 | 이 약은 안식향나무 <i>Styrax benzoin</i> Dryander 또는 백화수 <i>Styrax tonkinensis</i> Craib ex Hart. (때죽나무과 Styracaceae)에서 얻은 수지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채취 | 그늘에서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생연용(生硏用)하거나, 12시간정도 주침(酒浸)하여 정제(精製)한 후 양건(陽乾)하여 분말(粉末)로 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 |||
76 | Bistortae Rhizoma | 권삼 | 拳參 | 자삼(紫參)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범꼬리 <i>Bistorta manshuriensis</i> Komarov (여뀌과 Polygonaceae)의 뿌리줄기이다. | 초봄에 싹이 날 때 또는 가을철에 줄기와 잎이 시들려고 할 때 채취 | 흙모래를 제거하고 물에 씻어 줄기를 다듬어버린 다음 해볕에 말려 잔뿌리를 제거한다. | ||||
77 | Bletillae Rhizoma | 백급 | 白芨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자란 <i>Bletilla striata</i> (Thunberg) Reichenbach fil. (난초과 Orchidaceae)의 덩이줄기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채취 | 흙을 씻어 줄기와 수염뿌리를 다듬어버리고 증기에 찐 다음 거친 겉껍질을 벗겨버리고 해볕에 말린다. | 白芨片 : 잡질을 제거하고, 크고 작은 것을 분류하여 깨끗하게 씻은 후 2~4시간 정도 물에 담그어 축인 후 薄切片하여 햇볕에 건조<br/>白芨粉 : 白芨片을 가루내어 사용한다. | 白 芨 : 불규칙한 扁圓形으로 대개는 2~3개의 掌狀으로 分枝되었고, 길이 1.5~5cm, 두께 0.5~1.5cm. 표면은 회백색 또는 황백색으로 위쪽 끝에는 줄기의 흔적이나 또는 輪狀으로 된 잎의 흔적이 있다. 質은 단단하고 折斷하기 어려우며 斷面은 類白色의 角質모양으로 되어 있다.<br/>白芨片 : 橫切한 극히 얇은 薄片으로 형상이 불규칙하다. 斷面은 백색 혹은 연한 황색을 띠고 角質이며 반투명하고, 維管束點이 산재해 있다.<br/>白芨粉 : 백색 혹은 연한 황색의 가루. | 味苦 性平 入肺胃肝經 補肺 止血 消腫 斂瘡 → 肺虛咳嗽, 衄血, 肺癰, 肺痿, 擁腫 등의 증후를 치료 → 外敷하면 燙火傷, 金瘡을 치료 原粒은 打碎하거나 切片으로 하면 유효성분이 쉽게 煎出된다. 熱處理는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精油의 손실과 粘液質이 파괴되어 치료효과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 | ||
78 | Boehmeriae Radix | 저마근 | 苧麻根 | 저근(苧根), 저마(苧麻) | 뿌리 | 이 약은 모시풀 <i>Boehmeria nivea</i> Gaud. (쐐기풀과 Urticaceae)의 뿌리이다. | 겨울에서 이듬 해 봄 사이에 채취 | |||||
82 | Bovis Calculus | Cattle Gallstone | 우황 | 牛黃 | 담낭 중에 생긴 결석 | 이 약은 소 <i>Bos taurus</i> Linné var. <i>domesticus</i> Gmelin (소과 Bovidae)의 담낭 중에 생긴 결석이다. | 결석물을 모아 겉면의 얇은막 등을 다듬고 물기를 잘 빼는 물질에 싸서 그늘에서 말린다. | 原藥材를 取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갈아서 細粉으로 만든다. | 갈황색 또는 홍갈색의 細粉으로 氣는 淸香하고 맛은 약간 쓰면서 後味가 약간 달다. 淸凉感이 있고, 씹으면 이에 달라붙지 않는다. | 性凉 味苦 入心肝經. 淸熱解毒 熄風止痙 化痰開竅 → 治 熱病神昏, 中風淡迷, 驚癎抽搐, 癲癎發狂, 咽喉腫痛, 口舌生瘡, 癰腫疔瘡 등.<br/>生品으로 주로 많이 사용하는데, 熱病神昏, 中風淡迷, 驚癎抽搐, 癲癎發狂, 口舌生瘡, 癰腫疔瘡 등을 치료하는 데 사용.<br/>炮製 한 후에는 약물의 순도가 높아지며, 調劑와 製劑에 편리. | ||
83 | Bovis Fel | 우담 | 牛膽 | 쓸개 | 이 약은 소 <i>Bos taurus domesticus</i> Gmelin 또는 물소 <i>Bubalus bubalis</i> Linné (소과 Bovidae)의 쓸개이다. | 열주머니를 그대로 말리거나 열물을 받아 60℃아래의 온도에서 말린다. | ||||||
85 | Brassicae Semen | Mustard seed | 개자 | 芥子 | 겨자 | 씨 | 이 약은 갓 <i>Brassica juncea</i> Czern. et Cosson 또는 그 변종 (십자화과 Cruciferae)의 잘 익은 씨이다. | 늦여름부터 초가을까지 열매가 잘 익었을 때 | 햇볕에 말리고 종자를 털어내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 초개자(炒芥子) : 개자(芥子)의 생품은 신산(辛散) 작용이 강하여 통락(通絡), 지통(止痛)효능이 있음. 그러나 초(炒)하면 신산 작용이 약화되어 모기상음(耗氣傷陰)을 피할 수 있고 순기활담(順氣豁痰)하므로 한담해수(寒痰咳嗽)치료에 좋으며 또한 외각(外殼)이 터지면서 효소가 파괴되어 전출(煎出)이 쉬움. 개자를 초제(炒製)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볶다가 표면이 심황색이 되고 터지는 소리가 나며 매운 향이 나면 꺼내어 식힌 후 저장해 두었다가 쓸 때에 도쇄(搗碎)함. | ||
86 | Breeae Herba | 소계 | 小薊 | 전초(잎, 줄기, 꽃, 뿌리 등 식물 전체를 말한다.) | 이 약은 조뱅이 <i>Breea segeta</i> Kitamura 또는 큰조뱅이 <i>Breea setosa</i> Kitamura (국화과 Compositae)의 전초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꽃이 피었을 때 채취 |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늘이나 해볕에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세정(洗淨)한 다음 쇄건(晒乾)하여 양혈(凉血), 지혈(止血)에는 생용(生用)하고, 지혈(止血)에는 초탄(炒炭)하며, 외용(外用)에는 선품(鮮品)을 사용한다. 소계탄(小薊炭) : 소계(小薊)의 생품은 양혈소종(凉血消腫) 작용이 있음. 그러나 초탄(炒炭)하면 수렴지혈(收斂止血) 작용이 강화되어 토혈, 객혈(喀血), 수혈(嗽血) 같은 출혈이 심한 환자에게 씀. 소계단(小薊段)을 초제(炒製) 용기에 넣고 센 불로 볶아 표면이 흑갈색이 되고 불꽃이 생기면 소량의 물로 불꽃을 끄고 꺼내어 말림. | ||||
87 | Broussonetiae Fructus | 저실자 | 楮實子 | 열매 | 이 약은 꾸지나무 <i>Broussonetia papyrifera</i> (L.) Ventenat 또는 닥나무 <i>Broussonetia kazinoki</i> Siebold (뽕나무과 Moraceae)의 핵과이다. | 8~10월 사이에 果實이 붉은색을 띨 때 채취 | 씻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회백색의 막 같은 꽃받침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 楮實子 : 잡질을 골라내고 키를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사용할 때 搗碎.<br/>炒楮實子 : 깨끗한 楮實子를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껍질이 터지는 소리가 나고 향기가 날 때까지 炒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곳에서 식힘. | 楮實子 : 球形 혹은 卵形으로 조금 납작하며, 지름은 약 1.5mm이다. 표면은 홍갈색으로 그물모양의 주름과 顆粒狀의 突起가 있고 한쪽에는 모서리가 있고, 또 한쪽에는 움푹한 홈이 있으며 果梗이 붙어 있다. 質은 단단하면서 부스러지기 쉬우며 無臭이고, 맛은 淡하다.<br/>炒楮實子 : 모양은 楮實子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種子의 肉이 팽창되어 있고, 香氣가 있으며, 種皮가 터져서 갈라져 있다. | 性寒 味甘 入肝胃經. 補肝腎 强筋骨 淸肝明目 利尿 → 治腎虛腰痠, 虛勞骨蒸, 頭暈目昏, 肝熱目翳, 水腫脹滿, 瘡疽腫毒 등<br/>生品 : 淸肝明目 利尿消腫 補肝腎 强腰膝 → 治 目暗不明 水腫脹滿 腰膝痠軟<br/>炒 : 寒性이 감약되고, 種子의 肉이 팽창되어 있으며 種皮가 터져 갈라져 있게 되므로, 打碎하여 丸散劑로 만들기가 쉬어지며, 아울러 유효성분의 煎出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炒한 후의 효능은 生品과 같으나, 다만 주로 脾胃虛弱의 증후에 적용되며, 또한 陽痿에도 사용. | ||
88 | Buddlejae Flos | 밀몽화 | 密蒙花 | 꽃봉오리 | 이 약은 밀몽화 <i>Buddleja officinalis</i> Maximowicz (마전과 Loganiaceae)의 꽃봉오리 또는 화서이다. | 봄철에 꽃이 피기 전에 채취 | 이물질을 제거하고 말린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쇄건(晒乾)한다. | ||||
89 | Bufo | 섬서 | 蟾蜍 | 섬(蟾), 하마(蝦䗫), 건섬(乾蟾) | 몸체 | 이 약은 두꺼비 <i>Bufo bufo gargarizans</i> Cantor 또는 흑광섬서(黑眶蟾蜍) <i>Bufo melanostictus</i> Schneider (두꺼비과 Bufonidae)의 독선의 분비물(섬수․蟾酥)을 채취하고 남은 몸체로 내장을 제거하여 말린 것이다. | 겉면을 물로 깨끗이 씻고 배를 갈라 내장을 전부 긁어낸 다음 해볕에서 말린다. | |||||
90 | Bufonis Venenum | Toad Venom | 섬수 | 蟾酥 | 독선(毒腺)의 분비물 | 이 약은 두꺼비 <i>Bufo bufo gargarizans</i> Cantor 또는 흑광섬서 (黑眶蟾蜍) <i>Bufo melanostictus</i> Schneider (두꺼비과 Bufonidae)의 독선 (毒腺)의 분비물을 모은 것이다. | 물로 깨끗이 씻고 물기가 없도록 말린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자극을 주어 진을 내게 하고 진만을 긁어모아 흙, 모래 기타 협잡물을 없애고 일정한 모양의 틀이나 유리판우에 발라서 해볕에 말린다. | 蟾酥粉 : 原藥材를 취하여 빻아 고운 분말로 만든다.<br/>酒蟾酥: 原藥材를 취하여 빻아서 부순 후 磁器製의 용기에 넣고, 일정량의 白酒를 부은 후 쉴새 없이 저어서 걸죽한 고약상태로 만든 다음 꺼내 바람이 잘 통하는 시원한 곳에서 건조시킨 다음 고운 분말로 한다(蟾酥 10kg당 白酒 20kg)<br/>乳蟾酥 :原藥材를 취한 다음 빻아 부수고 신선한 우유에 沈漬한 다음 쉴 새 없이 잘 섞어서 걸쭉한 고약상태가 되면 건조하여 가루로 간다(蟾酥 10kg당 牛乳 20kg) | 蟾酥粉 : 갈색 분말로 조금 비린내가 나고, 맛은 처음에 달다가 나중에는 오랫동안 아린 맛이 난다. 분말을 냄새 맡으면 재채기가 나온다.<br/>酒蟾酥 : 형태는 蟾酥粉과 같고, 술 냄새가 난다.<br/>乳蟾酥 : 형태는 蟾酥粉과 같고, 牛乳 냄새. 氣味와 자극성은 蟾酥粉에 비하여 약하다. | 性溫 味辛 有毒 入解毒止痛·開竅醒神·强心·鎭痛·消腫 등 → 治 疔瘡, 癰疽, 淋巴腺腫, 慢性骨髓炎, 咽喉腫痛, 小兒疳積, 心臟衰弱 外用하면 風蟲齒痛을 치료.<br/>生品 : 辛麻苦烈해서 좋은 痲醉작용이 있고, 解毒消腫할 수도 있으나, 질이 단단해서 분쇄하기 어려우며 毒性이 비교적 커서 이 약을 다루는 사람을 자극하기 때문에 주로 丸劑나 散劑로 만들어 사용하거나 外用으로 사용하여 각종의 牙痛과 疔瘡瘰癧, 癰疽腫痛, 咽喉腫痛 등을 치료. 혹은 표면 마취제로 만들어 응용할 수도 있다.<br/>酒製 : 烈性이 제거되고 분쇄하기가 편하며, 毒性이 저하되고, 이 약물을 다루는 사람을 크게 자극하지 않으며, 아울러 그 辛散消腫·開竅하는 효능을 증강시키므로 內服劑에 넣을 때 사용. 따라서, 咽喉腫痛, 癰疽疔瘡, 中暑腹瀉, 腹痛神昏과 각종 癌 등의 치료에 적용.<br/>乳蟾酥 : 解毒消腫하는 효능이 있는데, 乳汁으로 浸化하면 資氣托裏護心하여 毒氣를 밖으로 나가게 하면서 안으로 공격하지 않게 한다. | ||
91 | Bupleuri Radix | Bupleurum Root | 시호 | 柴胡 | 뿌리 | 이 약은 시호 <i>Bupleurum falcatum</i> Linné 또는 그 변종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봄철과 가을철에 채취 | 줄기와 잔뿌리를 다듬어버리고 물에 씻어 해볕에 말린다. | 柴 胡 : 原藥材의 잡질과 殘莖을 깨끗이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 후 4~8시간 밀폐하여 내외의 습도가 일정하게 축인 후 厚切片으로 썰어 햇볕에 건조<br/>醋柴胡 : 柴胡生片에 일정량의 米醋를 뿌려 희석하여 고루 축인 후 米醋가 스며들면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黃火色이 될 정도로 炒하여 그늘진 곳에 放冷(柴胡片 100kg당 米醋 15kg).<br/>鱉血柴胡 : 柴胡片에 소량의 물로 희석한 鱉血을 고루 섞어 잘 혼합하여 충분히 축인 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炒乾한 후에 꺼내어 사용. 또한 다른 방법이 있는데, 鱉血과 黃酒를 혼합한 液을 柴胡片에 고루 섞어서 잘 흡수되도록 축인 다음 文火로 炒乾한다(柴胡片 1kg당 鱉血 125g·黃酒 250g). | |||
92 | Calamina | 노감석 | 爐甘石 | 감석(甘石) | 이 약은 탄산염광물 능아연석이나 수아연석으로 된 단일 광물의 집합체 또는 능아연석이 위주인 다광물의 집합체이다. | 씻어서 햇볕에 말리고 잡석을 제거한다. | ||||||
93 | Callorhini Testis et Penis | 해구신 | 海狗腎 | 올눌제(膃肭臍) | 고환 | 이 약은 물개 <i>Callorhinus ursinus</i> Linné (= <i>Otaria ursinus</i> Gray) (물개과 Otariidae)의 음경과 고환을 건조한 것이다. | 生海狗腎 : 海狗 혹은 海豹의 陰莖 혹은 蠌丸을 취하여 주위의 살과 脂肪을 제거한 다음 그늘진 곳에 걸어 두어 陰乾. 혹은 原藥材를 취하여 주위의 살과 脂肪을 제거하고 文火로 구워 유연하게 하거나 찜통에 넣고 쪄서 유연하게 한 다음 厚片으로 썰어서 건조.<br/>酒海狗腎 : 海狗腎 한 개를 취하여 1.8kg의 술에 일주일간 담그어 두었다가 사용하거나 혹은 黃酒를 이용하여 炙하여 조직을 부드럽게 한 다음 가루로 만들어 사용. <br/>滑石粉炒海狗腎 : 滑石粉을 취하여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뜨겁게 炒한 다음 海狗腎片을 넣는다. 잘 섞으면서 炒하여 표면이 焦黃色이 되고 약간 부풀어 오르면 꺼내어 滑石粉을 체를 쳐서 제거하고, 서늘한 곳에 放冷(海狗腎 100kg당 滑石粉 40kg). | 海狗腎 : 긴 원주형으로 밑 부분에 타원형의 蠌丸이 붙어 있고 어두운 갈색을 띤다. 陰莖은 길이 약 18cm, 지름12mm 內外이다. 종류에 따라서는 길이 28~30cm, 지름 1~2cm로 광택이 있고 황갈색의 棒狀形인 것도 있다. 陰莖의 표면에는 세로로 불규칙하고 쭈그러진 주름이 있고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비교적 투명한 모양을 나타낸다. 陰莖의 끝 쪽은 가늘고, 質은 매우 단단하며 잘 부스러지지 않는다.<br/>海丘腎片 段 : 圓柱狀의 小段이거나 片모양의 小塊이며, 연한 황갈색이고 質은 질기며 비린내가 나고 맛은 짜다<br/>酒海狗腎 : 형태는 海狗腎片이나 段과 비슷하며, 술냄새가 난다.<br/>滑石粉炒海狗腎 : 형태는 海狗腎片이나 段과 비슷하며, 質은 성글어지고 색깔은 焦黃色이며, 약간 부풀어 올라 있고, 비린내는 적다. | 性熱 味鹹 入腎經. 溫腎壯陽 補精益隨 → 治腎陽不足으로 인한 陽痿精冷, 宮冷不孕, 腰膝冷痛 등의 병증과 虛損勞傷 등에 응용.<br/>生用 : 質이 질기며 비린내<br/>酒炙 : 補腎壯陽의 효능이 더욱 강해지고 또한 壯筋骨하는 효능이 있다. <br/>滑石粉製 : 粉碎와 煎煮하기가 편해지고, 또한 비린내도 제거 | |||
94 | Camphorum | 장뇌 | 樟腦 | 결정체 | 이 약은 녹나무 <i>Cinnamomum camphora</i> (L.) Nees et Ebermair (녹나무과 Lauraceae)의 목부, 가지 또는 잎을 절단하여 수증기증류하여 얻은 장뇌유(樟腦油)를 냉각시켜 석출한 결정체이다. | 보통 9~12월 사이에 채취 | ||||||
95 | Campsitis Flos | 능소화 | 凌霄花 | 타태화(墮胎花) | 꽃 | 이 약은 능소화 <i>Campsis grandiflora</i> Schumann 또는 미주능소화 <i>Campsis radicans</i> Seemen (능소화과 Bignoniaceae)의 꽃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꽃이 활짝 피었을 때 채취 | 말린다. | 原藥材의 殘莖과 잡질을 제거하고, 洗淨한 다음 밀폐하여 축인 후 厚片으로 썰어 건조 | 불규칙한 類圓形의 厚切片이고, 표면은 회황색이고 갈라진 틈이 있으며, 중심은 회흑색이거나 혹은 갈흑색이고, 거칠다. 냄새는 특이하고, 맛은 약간 쓰다. 큰절굿대는(禹州漏蘆) 불규칙한 類圓形의 厚片이며, 표면의 皮부위는 갈색이고, 木부분은 黃黑이 서로 엇갈린 放射狀 紋理가 있으며 주변은 회갈색 혹은 회황색. 質은 단단하고, 氣는 微하며 맛은 약간 떫다 | 性味 苦寒 入胃經 淸熱解毒ㆍ消癰腫ㆍ下乳汁 → 乳癰腫痛, 癰疽發背, 瘰癧瘡毒, 乳汁不通, 濕痺拘攣 등의 증후에 주로 사용 切製 후에는 그 약효성분의 煎出에 有利하며, 調劑와 製劑에 편리 | |
96 | Cannabis Semen | 마인 | 麻仁 | 화마인(火麻仁) | 씨 | 이 약은 삼 <i>Cannabis sativa</i> Linné (뽕나무과 Moraceae)의 씨이다. |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채취하여 | 이물질을 제거하고 해볕에 말린다. | ||||
97 | Cantharides | 반묘 | 斑猫 | 칸타리스 | 충체 | 이 약은 띠띤가뢰 <i>Mylabris cichorii</i> Linné, 남방대반모(南方大斑蝥) <i>Mylabris phalerata</i> Pallas 또는 줄먹가뢰 <i>Epicauta gorhami</i> Marseul (가뢰과 Meloidae)의 몸체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 | 밀폐하거나 끓는물에 넣어 죽이고 햇볕에 말린다. | ||||
98 | Capsici Fructus | Capsicum | 고추 | 苦椒 | 열매 | 이 약은 고추 <i>Capsicum annuum</i> Linné 또는 그 변종(가지과 Solanaceae)의 열매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열매껍질이 홍색으로 변할 때 채취 | 가지와 꼭지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 ||||
101 | Carpesii Fructus | 학슬 | 鶴虱 | 열매 | 이 약은 담배풀 <i>Carpesium abrotanoides</i> Linné (국화과 Compositae)의 열매이다. |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채취 | 햇볕에 말리고 이물질을 제거한다. | 잡질(雜質)을 제거하고 생용(生用)하거나 초(炒)하여 사용한다. | ||||
102 | Carthami Flos | Safflower | 홍화 | 紅花 | 관상화 | 이 약은 잇꽃 <i>Carthamus tinctorius</i> Linné (국화과 Compositae)의 관상화이다. | 여름철에 꽃이 황색에서 홍색으로 변할 때 채취 | 바람이 잘 통하는 해볕이나 그늘에서 말린다. | ||||
104 | Cassiae Cortex Interior | 계심 | 桂心 | 줄기껍질: 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육계(肉桂) <i>Cinnamomum cassia</i> Blume의 줄기껍질에서 주피와 겉껍질층을 없앤 것이다. | 간피(幹皮)에서 주피와 내피의 얇은 층을 벗긴 것. | ||||||
105 | Cassiae Semen | Cassia Seed | 결명자 | 決明子 | 씨 | 이 약은 결명차 <i>Cassia tora</i> Linné 또는 결명 (決明) <i>Cassia obtusifolia</i> Linné (콩과 Leguminosae)의 잘 익은 씨이다. | 가을철에 果實이 성숙할 때 채취 | 햇볕에 말려 종자를 털어내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씨를 모은다. | 결명자 : 原藥材를 체로 쳐서 잡질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건조.<br/>炒決明子 : 깨끗한 決明子를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炒하여 조금 부풀어오르고 香氣가 나면서 색이 짙어져 火色이 될 때 꺼내 그늘에 放冷. | 決明子 : 菱方狀 말발굽형의 小粒으로 길이는 약 4~7mm이고, 한 쪽은 비교적 平하며 다른 한 쪽은 斜形으로 조금 날카롭고, 표면은 황갈색 혹은 녹갈색으로 평평하고 매끄러운 광택이 있으며 양면에 각각 돌기한 갈색의 稜線이 있다. 質은 단단하고 氣는 微하며 味는 微苦하고 씹으면 콩비린내가 약간 난다.<br/>炒決明子 : 형태는 生決明子와 같고 표면이 약간 부풀어 있으며 색은 비교적 짙은 火色이고 가끔 焦黃斑이 있다.<br/>[鑑別(反應)]<br/> 生品粉末 0.5g에 10%의 황산 20ml, 클로로포름 10mlm을 加하여 물 속에서 휘저어 15분간 끓여 식히고 깔대기로 여과시켜 클로로포름 층을 위해 10ml의 수산화나트륨 試液을 넣고 흔든 후 방치하면 홍색의 알칼로이드 液廥이 나타난다. 만약 갈색이 나타나면 알칼로이드액 층을 취해서 산화수소 試液 1~2방울을 떨어뜨려 다시 끓는 물에 4분간 가열하면, 즉시 홍색이 나타난다. | 性微寒 味苦甘鹹 入肝 · 大腸經. 淸肝明目 · 潤腸通便 → 治 目赤澁痛, 羞明多淚, 頭痛眩暈, 目暗不明, 大便秘結 등<br/>生決明子 : 淸肝熱 · 潤腸燥하는데 장점이 있으며, 目赤腫痛, 大便秘結을 치료하는데 常用.<br/>炒製 : 種子를 바삭바삭하게 하고 약효의 煎出을 좋게 하며, 滑腸作用을 완화시켜 주고, 平肝養腎하는데 효능을 발휘하며 주로 頭痛, 眩暈, 靑盲內障에 사용 | |
106 | Castaneae Semen | 건율 | 乾栗 | 율자(栗子) | 씨 | 이 약은 밤나무 <i>Castanea crenata</i> Siebold et Zuccarini (참나무과 Fagaceae)의 씨껍질을 벗긴 씨이다. | 가을(9~10월)에 밤송이가 누렇게 익을 때 | 밤알만을 그늘에서 말린 다음 그대로 또는 쪄서 열매껍질과 씨껍질을 벗겨 완전히 말린다. | ||||
109 | Celosiae Semen | 청상자 | 靑葙子 | 씨 | 이 약은 개맨드라미 <i>Celosia argentea</i> Linné (비름과 Amaranthaceae)의 씨이다. | 가을철에 열매가 잘 익었을 때 채취 | 해볕에 말린 다음 비벼서 씨만을 모아 말린다. | 靑葙子: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을 골라내고 체로 쳐서 부스러기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건조.<br/>炒靑葙子 : 靑葙子를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爆裂소리가 나고 香氣가 스며나올 때까지 炒하여 그늘진 곳에 널어 식힘. | 靑葙子 : 이 약물은 평평한 원형을 나타내고 일부는 腎圓形이며 직경 1~1.5mm이다. 표면은 흑색이거나 홍흑색이고 광택이 나며 중간부위가 약간 隆起되어 있다. 側面에는 약간 움푹 들어가 臍點이 있으며 種皮는 얇고 쉽게 부스러진다.<br/>炒靑葙子 : 형태는 靑葙子와 같고, 표면이 약간 부풀어 올라있고, 색택이 짙으며, 焦香氣가 있다. | 性微寒 味苦 入肝經. 淸肝平肝 明目退翳 → 治 目赤腫痛, 障翳, 高血壓, 鼻衄, 皮膚風熱瘙癢, 疥癬 등<br/>生品 : 淸肝平肝作用이 비교적 강하며, 肝火目赤, 高血壓에 常用<br/>炒 : 寒性이 완화되고 겸하여 有效成分이 쉽게 煎出할 수 있으며, 目生翳膜, 視物昏暗에 사용되고, 또한 肝陽上亢으로 인한 頭痛頭昏 예를 들면 高血壓에도 사용. | ||
111 | Cervi Cornu | 녹각 | 鹿角 | 뿔 | 이 약은 매화록(梅花鹿) <i>Cervus nippon</i> Temminck, 마록(馬鹿) <i>Cervus elaphus</i> Linné 또는 대록(大鹿) <i>Cervus canadensis</i> Erxleben (사슴과 Cervidae)의 골질화된 뿔이다. | 저절로 떨어지기 전의 굳어진 사슴의 뿔을 톱으로 자른 다음 흙모래를 제거하고 바람에 말린다. | 鹿角片 : 原藥材를 취하여 톱으로 잘라서 溫水에 담그어 血水를 제거한 다음 쪄서 鎊片으로 얇게 깍아 건조.<br/>鹿角粉 : 角片을 취하여 細粉으로 갈거나 혹은 깨끗한 鹿角銼末을 취하여 細粉으로 제조.<br/>鹿角霜 : 鹿角을 熬製한 후의 角槐로, 잡질을 제거하고 搗碎. | 鹿角片 : 원형 혹은 타원형의 薄片으로, 표면은 회백색 또는 연한 회갈색이며, 광택이 있고, 中部에는 가는 벌집모양의 작은 구멍이 있다. 주변은 회황색 혹은 회갈색이며, 質은 細密하고 가벼우며 연약하고 맛은 약간 짜다.<br/>鹿角粉 : 粉末狀이며, 백색 혹은 회백색이다. 無臭이며 맛은 약간 짜다.<br/>鹿角霜 : 불규칙한 碎塊 혹은 顆粒이며, 質은 가볍고 성글며, 吸濕性이 있고, 씹어보면 이빨에 끈적끈적하게 달라붙는 느낌이 있다. | 性溫 味鹹 入肝腎經. 溫腎陽 强筋骨 行血消腫 → 治 陽痿遺精, 腰背冷痛, 陰疽瘡瘍, 乳癰초기, 瘀血腫痛 등에 응용.<br/>鹿角霜 : 性溫 味鹹澀 溫腎助陽 收斂止血→ 治 腎陽不足, 脾胃虛寒으로 인한 崩漏帶下, 食少吐瀉, 小便頻多 | |||
113 | Cervi Parvum Cornu | 녹용 | 鹿茸 | 어린 뿔 | 이 약은 매화록(梅花鹿) <i>Cervus nippon</i> Temminck, 마록(馬鹿) <i>Cervus elaphus</i> Linné 또는 대록(大鹿) <i>Cervus canadensis</i> Erxleben (사슴과 Cervidae)의 숫사슴의 털이 밀생되고 아직 골질화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 | 묵은 뿔이 떨어진(뿔갈이) 다음 60~75일사이에 톱으로 잘라 가공한 후 그늘이나 건조기에 말린다. 자른 날자와 사슴의 영양상태에 따라 '2끝록용과 '3끝록용으로 나눈다. 2끝록용은 뿔갈이하여 60일안에, 3끝록용은 75일안에 자른것이다. | 鹿茸片 : 原藥材를 취하고 茸毛를 태워 그을리고 깨끗이 벗겨낸 다음 천으로 녹용을 감아 묶어서 톱으로 자르고 자른 자국면의 小孔으로 계속 뜨거운 白酒를 부어 넣어 푹 젖게 축인다. 술이 어느 정도 스며들면 자르는데, 薄片으로 橫切하여 평평하게 눌러서 건조하거나 밀폐하여 서늘한 그늘진 곳에 건조.<br/>鹿茸粉 : 原藥材를 취하여 茸毛를 그을리고 깨끗하게 벗겨낸 다음 쪼개서 작은 덩어리로 부순 다음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다. 밀폐하여 서늘한 그늘진 곳에 건조. | 鹿茸片<br/>① 花鹿茸片 : 뿔의 끝부분은 『血片』,『蠟片』이라고 하는데, 원형의 薄片으로 표면은 옅은 갈색 혹은 옅은 황백색이고 반투명으로 약간 광택이 있다. 外皮에는 骨質이 없고 주변은 거칠며, 홍갈색 혹은 갈색이고 질은 단단하며 질기다. 氣는 약간 비린내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中上部는 『蛋黃片』이라고 하는데 절단면이 황백색 혹은 粉白色이며 中間에는 아주 작은 벌집모양의 구멍이 있으며, 下部는 『老角片』이라고 하는데, 주변은 거칠고 홍갈색 혹은 갈색이며 質이 단단하면서도 연약하여 잘 부서진다. 氣는 약간 비린내가 나고, 맛은 약간 微鹹하다.<br/>② 馬鹿茸片 : 뿔의 끝부분은 原形의 薄片이고, 표면은 회흑색이며, 中間은 연한 황색이고 반투명이며, 약간 광택이 있다. 外皮는 비교적 두껍고 骨質이 없으며, 주변은 회흑색이고 質은 단단하면서 질기며, 氣는 약간 비린내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中上部와 下部는 원형 혹은 원형에 가까운 厚片이고, 표면은 회흑색이며, 中間은 연한 황색이고, 가는 벌집모양의 작은 구멍이 있다. 外皮는 비교적 두꺼우며, 骨質은 없거나 약간 骨質을 띠고 있으며, 주변은 회흑색이고 質이 단단하면서 연약하다. 氣는 약간 비린내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br/>鹿茸粉 : 乳白色이거나 연한 황색 혹은 홍갈색의 粉末이며, 氣는 약간 비린내가 나고, 맛은 약간 짜다. | 性溫 味甘鹹 入肝腎經. 壯腎陽 益精血 强筋骨 調衝任 托瘡毒 → 治 陽痿滑精, 宮冷不孕, 羸瘦, 神疲, 畏寒, 眩暈, 耳鳴, 耳聾, 腰脊冷痛, 筋骨痿軟, 崩漏帶下, 陰疽不斂 등<br/>이 약물의 切片이나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면 非藥用部位가 제거되어 調製나 服用에 편리하며, 약효가 제대로 우러나오게 된다.<br/>또한 茸毛는 咽喉를 자극하여 기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 | ||
114 | Chaenomelis Fructus | 목과 | 木瓜 | 목과실(木瓜實), 모과(木瓜) | 잘 익은 열매 | 이 약은 모과나무 <i>Chaenomeles sinensis</i> Koehne 또는 명자나무 <i>Chaenomeles speciosa</i> Nakai (장미과 Ros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열매가 녹황색일 때 채취 | 끓는물에 5분동암 담그었다 꺼내고 말려 쭈글쭈글하게 된 다음 길이로 절반 쪼개서 해볕에 완전히 말린다. | 木 瓜 :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을 제거하고 물에 깨끗이 씻어 축이거나 쪄서 유연하게 한 후에 薄片으로 썰어 건조.<br/>炒木瓜 : 木瓜片을 취하여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표면이 연한 황색이 되도록 炒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곳에서 방랭 | 木瓜: 초승달과 비슷한 모양의 薄片이며, 길이 4~8cm, 너비 0.7~2.5㎝, 두께 1㎜이다. 外面은 황갈색 혹은 홍갈색이고, 凹淊部에는 황갈색이다. 주변의 果皮는 홍색이거다 홍갈색이며, 주름이 있다. 質은 파삭파삭하고 쉽게 折斷된다. 氣는微微하고 맛은 酸微澀하다.<br/>炒木瓜 : 표면은 어두운 갈색이고, 焦斑이 있으며, 맛은 약간 시고 떫다. | 性溫 味酸 入肝脾經. 舒筋活絡 和胃化濕 → 治 濕痺狗攣, 腰膝關筋의 酸重疼痛, 吐瀉轉筋, 脚氣, 水腫 등<br/>木瓜는 물에 축이거나 찌는데 그 주요 목적은 약재를 軟化하여 切片에 편리를 꾀함이다. 그 작용은 기본적으로 같으며 舒筋除痹하는 데에 효능이 偏重되어 濕邪가 經絡, 筋骨, 肌肉에 痹阻하여 筋脈拘攣, 關筋不利, 腰膝痠痛하고 無力, 脚氣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증후에 사용.<br/>炒木瓜 : 酸味가 減弱되어 和胃化濕하는데 偏重되며 또한 舒筋할 수 있어서 嘔吐, 泄瀉, 轉筋의 증상에 많이 활용 | |
115 | Chelidonii Herba | 백굴채 | 白屈菜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애기똥풀 <i>Chelidonium majus</i> Linné var. <i>asiaticum</i> Ohwi (양귀비과 Papaveraceae)의 지상부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채취 | 흙모래를 제거하고 그늘이나 햇볕에 말린다. | |||||
116 | Chrysanthemi Indici Flos | Chrysanthemum Flower | 감국 | 甘菊 | 야국(野菊) | 꽃 | 이 약은 감국 <i>Chrysanthemum indicum</i> Linné (국화과 Compositae)의 꽃이다. | 가을철과 겨울철에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채취 | 햇볕에 말리거나, 찐 다음 햇볕에 얇게 펴서 말린다. | |||
118 | Chrysanthmi Flos | Chrysanthemum Flower | 국화 | 菊花 | 꽃 | 이 약은 국화 <i>Chrysanthemum morifolium</i> Ramatuelle (국화과 Compositae)의 꽃이다. | 9~11월에 꽃이 활짝 피었을 때 여러 번 나누어 채취 | 그늘이나 건조기에 말린다. 또는 훈증하거나 찐 다음 햇볕에 말린다. 산지와 가공방법에 따라서 '박국(亳菊)', '저국(滁菊)', '공국(貢菊)', '항국(杭菊)'으로 구분한다. | 菊花 : 原藥材를 취하여 잡질과 남아 있는 梗葉을 제거하고, 부스러기는 체로 쳐서 제거<br/>菊花炭: 菊花를 취하여 炒製용기에 넣고 中火로 가열하여 표면이 焦褐色이 될 때까지 炒한 다음 약간의 淸水를 뿜어 남아있는 불기를 완전히 제거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그늘진 곳에 放冷 | 菊花 : 扁球刑 혹은 불규칙한 球形이다. 頭狀花序의 外層은 여러 층의 舌狀花로 되어 있고 납작한 花瓣狀으로 중심에는 많은 管狀花가 모여 이루어져 있으며, 基部에는 總苞가 있는데 3~4층의 苞片으로 이루어져 있다. 類白色 혹은 짙은 황색이다. 質은 가볍고, 氣는 淸香하며, 맛은 甘微苦하다.<br/>菊花炭: 花瓣이 焦褐色이다.<br/>【成分作用】<br/>꽃과 줄기에는 精油를 함유하며 또한 adenine, choine, stachydrin 등도 함유되어 있다. 꽃은 chrysanthemin, amino acid, flavonoid와 미량의 vitamin B1을 함유하며, 精油의 주성분은 borenol, camphor, chrysanthenone 등. flavonoid로는 luteolin-7-glucoside, cosmosiin, acaciin을 含有하며, 또 succinic acid, dimethylhydrazide를 함유.<br/>藥理실험결과, 菊花는 體外실험에서 黃色葡萄球菌, B-溶血性連鎖球菌, 人型結核杆菌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그 水浸劑(1:4)는 皮膚에 질병을 유발하는 眞菌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高濃度는 體外實驗에서 또한 抗病毒 및 抗螺旋體작용이 있다. 임상보고에 의하면, 菊花는 冠狀動脈硬化症을 치료하고, 혈압을 낮추어 주는 작용이 있다. | 性微寒 味辛甘苦 入肺肝經. 疏風散熱 養肝明目 淸熱解毒 → 感冒風熱, 頭痛眩暈, 目赤腫痛, 眼目昏花, 疔瘡腫毒 등에 응용<br/>生用 : 外感風熱과 溫病初起 目赤腫痛 혹은 昏暗 肝風 혹은 肝陽上亢으로 인한 治頭痛 眩暈<br/>炒炭 : 疏散風熱작용은 매우 약해지고 止血의 효능. 경증의 喀血. 임상에서는 드물게 활용 | |
119 | Cibotii Rhizoma | Cibot Rhizome | 구척 | 狗脊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금모구척(金毛狗脊) <i>Cibotium barometz</i> J. Smith (구척과 Dicksoniaceae)의 뿌리줄기이다. | 가을철과 겨울철에 채취 | 흙모래를 제거하고 말린다. 또는 딱딱한 뿌리, 잎자루 및 황색 솜털을 제거하고 두텁게 썰어 말리는데, 이를 ‘생구척편(生狗脊片)’이라고 하며, 찐 뒤에 햇볕에 6~7할 정도 말리고 두텁게 썰어 말린 것을 ‘숙구척편(熟狗脊片)’이라고 한다. | 狗 脊 : 雜質을 제거하고, 切片하지 않은 것은 絨毛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축인 후 厚切片(혹은 蒸하여 부드럽게 한 후 切片)하여 乾燥. 부스러기를 체로 쳐서 제거<br/>砂炒狗脊 : 깨끗한 모래를 炒製용기에 넣고 센불(武火)로 느슨하게 炒한 상태에서 狗脊을 넣고, 표면이 부풀어오르고 짙은 黃火色이 될 정도로 炒하여 모래를 체로 쳐내고 放冷한 후, 비벼서 絨毛를 깨끗하게 제거<br/>蒸狗脊 : 깨끗한 狗脊片을 蒸製용기에 넣고 센불(武火)로 가열하여 4~6시간 정도 쪄서 불을 끈 다음 6~8시간 동안 덮어 두었다가 꺼내어 건조<br/>酒狗脊 : 狗脊片에 黃酒를 고루 잘 섞어 축인 후 蒸製용기에 넣고 武火로 가열하여 4~6시간을 쪄서, 불을 끈 다음 6~8시간 동안 덮어 두었다가 꺼내어 건조(狗脊片 100kg당 黃酒 15kg). | 狗 脊 : 불규칙한 타원형 혹은 원형의 厚片이며, 절단면은 연한 갈색 혹은 황백색으로 平滑하며 보드랍고 매끄럽다. 가장자리의 가까운 곳에는 하나의 뚜렷하게 융기되어 있는 황갈색의 環紋이 있고, 중간은 연한 갈색이며, 小點이 가득차게 분포되어 있다. 周邊은 가지런하지 않고 간혹 金黃色의 絨毛가 남아 있으며, 質은 약하며 折斷하기가 쉽고 粉性이 있다. 맛은 약간 떫다.<br/>砂炒狗脊 : 불규칙한 切片 혹은 塊狀으로 두께는 약 3mm, 표면은 짙은 갈색에 가깝고 주위에는 한 줄의 황갈색 突起의 環紋이 있거나 혹은 줄무늬가 있으며 중간은 연한 갈색이고 小點이 널리 퍼져 있으며 주변에는 짙은 갈색을 띠고, 質은 파삭파삭하며 粉性이며 쉽게 꺾어진다. 無臭이고 맛은 淡하며 微澀하다.<br/>蒸狗脊 : 표면은 짙은 갈색이고, 質은 굳고 딴딴하며, 角質. 약간 香氣가 있고 맛은 달다.<br/>酒狗脊 : 표면이 짙은 갈색이고, 質은 굳고 딴딴하며, 角質이고 약간 酒香氣가 있다. | 性味 苦甘溫 入肝腎經 補肝腎ㆍ强腰脊ㆍ祛風濕 → 腰脊酸軟, 下肢無力, 風濕痺痛, 手足麻木, 遺精, 遺尿 및 女子帶下 등의 증후에 사용<br/>生品 : 祛風濕ㆍ利關節하는 효능으로, 手足麻木, 關節疼痛, 屈伸不利 등의 증후에<br/>砂炒燙製 : 材質이 부드럽고 연해져 粉碎와 약효를 煎出하는 데 쉬워지며, 또한 殘存되어 있는 絨毛를 제거하는 데도 편리 - 砂炒狗脊은 補肝腎ㆍ强筋骨하는 효능이 主 - 肝腎不足 혹은 衡任虛寒으로 인한 腰痛脚軟, 遺精, 遺尿, 婦女帶下 등의 증후에 사용<br/>蒸製하거나 酒拌蒸한 후에는 補肝腎ㆍ强腰脊의 효능이 증강 | |
120 | Cicadidae Periostracum | 선퇴 | 蟬退 | 선세(蟬蛻) | 허물 | 이 약은 말매미 <i>Cryptotympana dubia</i> (Haupt) 또는 흑책(黑蚱) <i>Cryptotympana pustulata</i> Fabricius (매미과 Cicadidae)가 성충이 될 때 허물이다. | 여름철과 가을철에 수집 | 흙을 깨끗이 털어버리고 해볕에 말린다. | 原藥材를 취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깨끗이 씻은후 건조. | 蟬蛻는 약간 타원형이면서 구부러졌고 길이 약 3.5cm, 너비 약 2cm이다. 표면은 황갈색으로 반투명하고 광택이 있다. 頭部에는 실 모양의 觸角이 한 쌍 있는데 대부분 떨어져 나갔고 옆으로 두 개의 눈이 돌출 되어 있다. 턱 부위의 끝쪽은 돌출하고 주둥이는 발달하여 上脣은 넓고 짧으며 下脣은 긴 管狀을 이루고 있다. 胸部와 背部는 十字形으로 쪼개져 있으며 裂口를 향하여 속으로 말려 있고 등 쪽의 양측에는 두 쌍의 작은 깃이 있다. 腹部에는 세 쌍의 다리가 있는데 황갈색의 고운 털로 싸여 있다. 腹部는 둔한 圓形으로 아홉 마디이다. 몸체는 가볍고 속이 비어 있어 쉽게 부스러지며 냄새는 없고, 맛은 淡하다. | 性寒 味甘 入肺肝經. 疏散風熱·透疹止痒·明目退翳·祛風止痙 → 治 感冒風熱, 咽痛, 音啞, 痲疹不透, 風塵瘙痒, 目赤翳障, 驚風抽搐, 破傷風 등.<br/>잡질을 제거하고 洗淨하는 과정을 거친 후에는 약물의 재질이 깨끗해진다. | |
121 | Cimicifugae Rhizoma | Cimicifuga Rhizome | 승마 | 升麻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승마 <i>Cimicifuga heracleifolia</i> Komarov, 촛대승마 <i>Cimicifuga simplex</i> Wormskjord, 눈빛승마 <i>Cimicifuga dahurica</i> Maximowicz 또는 황새승마 <i>Cimicifuga foetida</i> Linné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줄기이다. | 가을철에 채취 | 흙모래를 제거하고 수염뿌리가 마를 때까지 햇볕에 말린 뒤, 불에 그슬리거나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해볕에 말린다. | 升 麻 : 原藥材의 잡질을 제거하고 물에 담그어 30~40%의 물기가 스며들면 꺼내어 축인 후 厚片으로 썰어 건조<br/>炒升麻 : 升麻片을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가열하여 짙은 황색을 띠고 약간 焦斑이 있을 때까지 炒한 다음 꺼내어 서늘한 그늘진 곳에 放冷<br/>蜜升麻 : 煉蜜에 적당량의 끓인 물을 넣고 희석한 다음 升麻片과 고루 섞어 炒製용기에 넣고 文火로 加熱하여 손에 끈적끈적하게 달라붙지 않을 정도로 炒한 후 꺼내어 서늘한 곳에 放冷한다(升麻片 100kg당 煉蜜 25kg). | 升 麻 : 불규칙한 侯片으로 표면은 황백색 내지 연한 흑갈색이며, 갈라진 틈이 있고, 纖維性이 드러난다. 皮部는 아주 얇으며, 중심에는 放射狀, 網狀의 條紋이 있고 髓部에는 空洞이 있으며, 質은 파삭파삭하고 맛은 약간 쓰다.<br/>炒升麻 : 표면은 짙은 황색이고, 약간 焦斑이 있으며, 質은 파삭파삭하여 부스러지기 쉽고 맛은 약간 쓰다.<br/>蜜升麻 : 표면은 황갈색이거나 혹은 짙은 갈색을 띠며, 맛은 달면서도 약간 쓰다. | 性微寒 味辛微甘 入脾·肺·大腸·胃經. 發表透疹·淸熱解毒·升擧陽氣 → 風熱頭痛, 齒痛, 口瘡, 咽喉腫痛, 痲疹不透, 陽毒發斑, 脫肛, 子宮脫垂 등의 증후에 사용<br/>升麻生品 : 昇散작용이 비교적 강하여 解表透疹·淸熱解毒의 효능이 우수하므로 外感의 風熱頭痛, 痲疹초기, 疹出不暢 및 熱毒發斑, 頭痛, 牙齦腫痛, 瘡瘍腫毒 등의 증후에 사용<br/>炒升麻·蜜炙升麻 : 辛散작용이 減弱되어서 脾陽을 昇하는 작용이 주가 되며 겸하여 胃에 대한 자극성이 감소<br/>蜜升麻 : 약간 甘補의 약성질이 있어 주로 中氣虛弱으로 인한 短氣乏力, 倦怠 및 中氣下陷으로 인한 久瀉, 久痢, 脫肛, 子宮下垂, 崩漏 등의 증후에 적용. | |
122 | Cinnabaris | Cinnabar | 주사 | 朱砂 | 진사(辰砂) | 이 약은 황화광물 진사로 주로 황화수은으로 구성되어 있다. | 순수하고 깨끗한 것을 골라, 자석을 이용해서 철을 함유한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물에 흔들어서 잡석과 흙모래를 제거한다. | 水飛朱砂 : 깨끗한 原藥材를 취하여 막자사발에 넣고 갈아 磁石을 사용하여 鐵부스러기를 吸取하여 제거하고 淸水를 적당히 넣고 硏磨해서 풀 모양으로 만든 후 다시 多量의 淸水를 加하여 휘젓다가 잠시 멈춘 다음 混懸液을 취한다. 밑에 가라앉는 組粉도 계속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반복 조작하여 직접 손으로 잘게 비벼보아서 빛나는 것이 없어지면 중지하고 雜質을 버린다. 이미 기울여 취한 混懸液을 합쳐서 가만히 두어 가라앉기를 기다린 후에 기울여 上面의 淸水를 버리고 건조시켜서 다시 갈아 미세한 분말로 한다. | 朱砂 : 粒狀 또는 塊狀의 集合體로 顆粒性 또는 塊片狀이다. 표면은 鮮紅色 또는 暗紅色으로 광택이 나고 質은 무겁고, 부서지기 쉬우며, 片狀으로 된 것은 破碎하기 쉽고, 粉末狀은 반짝반짝하는 광택이 있다.<br/>飛朱砂 : 極細粉末이며, 朱紅色이고, 맛은 없으며, 냄새도 없다. 質은 비교적 무거운데(密度 8g/cm3),쉽게 미세하게 갈린다. | 性微寒 味甘 有毒. 入心經. 淸心鎭痙 安神 明目 淸熱解毒 → 治 心悸易驚, 失眠多夢, 癲癎發狂 小兒驚風 視物昏花, 口瘡, 喉痹, 瘡瘍腫毒 등. <br/>朱砂는 內服하면 주로 淸心鎭驚. 安神하며, 外用하면 殺菌解毒. 生肌長肉 한다.<br/>임상에서 다만 丸. 散劑나 冲服으로만 적용하고 煎劑에는 넣지 않음. 水飛한 후에는 藥物이 微細하고 깨끗하게 되며, 製劑하는 경우와 內服이나 外用에도 편리. 또한 水飛를 하여 고운 粉末을 만들면 遊雜 水銀과 可溶性 水銀의 함량을 낮추고 毒性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臨床에서는 心悸易驚, 失眠多夢, 癲癎發狂 小兒驚風 視物昏花, 口瘡 喉痹, 瘡瘍腫毒 등을 치료하는 데 많이 사용.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kiom.re.kr | 한국한의학연구원 | 042-868-9526 | skkim@kiom.re.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20. KIOM.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품질측정기간 | 20201201~20201231 | |
---|---|---|---|
품질측정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89526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무결성, 유효성, 정확성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또는, 상이한 데이터인 경우 구매자가 요구 시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1 / 2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
1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