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페이지 본문 시작
약용 생물자원 처방 정보
약용 생물자원 처방 정보
- 약용 생물자원 처방 정보
산림자원관리
데이터 제공 포맷
csv / zip데이터 제공 방식
다운로드데이터 파일 용량
3.94 MB
데이터 기본 이용료
₩ 0
조회수 1850 / 다운수 140
1
데이터 상품 정보 |
---|
1. 상품 설명 및 특징
- 약용 생물자원 목록이 포함된 처방 리스트 입니다.
2. 컬럼(속성) 정보
- 처방ID(PRSC_ID): 처방 아이디 번호
- 처방한글명(PRSC_KRN_NM): 처방 한글 이름
- 처방한자명(PRSC_CHCHR_NM): 처방 한자 이름
- 처방출전정보(PRSC_ORGI_INFO): 처방이 기록된 고문헌명
- 처방출처내용(PRSC_ORGIN_CONT): 처방을 추출한 도서명
- 처방출처페이지(PRSC_ORGIN_PAGE): ): 처방을 추출한 도서의 페이지
- 약재아이디(KRMC_SFRMD_ID): 약재의 일련번호
- 약재라틴명(KRMC_SFRMD_LATN_NM): 약재의 라틴명 또는 생약명
- 약재영문명(KRMC_SFRMD_ENGLS_NM): 약재의 일반 영문명
- 약재한글명(KRMC_SFRMD_KRN_NM): 약재의 한글 이름
- 약재한자명(KRMC_SFRMD_CHCHR_NM): 약재의 한자 이름
- 약재이명(KRMC_SFRMD_SNNM): 약재에 대한 다른 이름들
- 약재약용부위(KRMC_SFRMD_MDCNL_RGN_NM): 약용 생물자원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부위
- 약재학명(KRMC_SFRMD_SCNM): 약용 생물자원의 학명(binomial nomenclature)
- 날짜(LDNG_DT): 데이터 적재일 (샘플에는 날짜 컬럼이 없습니다.)
3. 활용 주의
상품 데이터는 UTF-8로 인코딩되어 있기 때문에 UTF-8 포맷으로 열어야 합니다.
엑셀에서 CSV 파일을 클릭해서 열 경우 글자가 깨지기 때문에 엑셀에서 파일을 열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 엑셀을 실행한다.
- 엑셀의 데이터탭 -> 외부데이터가져오기에서 텍스트 클릭
- 열고자 하는 csv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 클릭
- 텍스트 마법사에서 구분 기호로 분리됨과 유니코드(UTF-8)를 선택 후 다음 클릭
- 구분기호에서 탭 해제하고 쉼표 선택하고 다음 클릭
- 마침 클릭
- 기존 워크시트 또는 새 워크시트 선택하고 확인 클릭
|
데이터 키워드 |
---|
약용 생물자원, 처방, 약재, 구성약재, 문헌 |
판매제공처 | 데이터 등록일 | 데이터 수정일 | 데이터 이용기한 |
---|---|---|---|
한국한의학연구원 | 2021-10-14 | 2021-11-26 | 무기한 |
상품 구분 | 데이터 배포 주기 | 데이터 제공 포맷/압축 포맷 | 데이터 제공 방식 | 데이터 파일 용량 |
---|---|---|---|---|
dataset | 1년 | csv/zip | 다운로드 | 3.94 MB |
처방아이디 | 처방한글명 | 처방한자명 | 처방출전 | 처방출처 | 처방출처페이지 | 약재아이디 | 약재라틴명 | 약재영문명 | 약재한글명 | 약재한자명 | 약재이명 | 약재약용부위 | 약재학명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243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 Licorice | 감초 | 甘草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감초 <i>Glycyrrhiza uralensis</i> Fischer, 광과감초 (光果甘草) <i>Glycyrrhiza glabra</i> Linné 또는 창과감초 (脹果甘草) <i>Glycyrrhiza inflata</i> Batal. (콩과 Leguminos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맥아(초) | 麥芽(炒)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목향(별연) | 木香(別硏)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백복령(거피) | 白茯苓(去皮)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백출(초) | 白朮(炒)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31 | Amomi Fructus | Amomum Fruit | 사인 | 砂仁 | 축사(縮砂) | 열매 | 이 약은 녹각사 (錄殼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var. <i>xanthioides</i> T. L. Wu et Senjen 또는 양춘사 (陽春砂) <i>Amomum villosum</i> Loureiro (생강과 Zingiberaceae)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리이다.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산사(취육) | 山楂(取肉)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171 | Dioscoreae Rhizoma | Dioscorea Rhizome | 산약 | 山藥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마 <i>Dioscorea batatas</i> Decaisne 또는 참마 <i>Dioscorea japonica</i> Thunberg (마과 Dioscoreaceae)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 (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이다.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신국(초) | 神麯(炒)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육두구(면리지포추거유) | 肉豆蔲(麵裏紙包捶去油)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231 | Ginseng Radix | Ginseng | 인삼 | 人蔘 | 뿌리 | 이 약은 인삼 <i>Panax ginseng</i>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이다.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130 | Citri Unshius Pericarpium | Citrus Unshiu Peel | 진피 | 陳皮 | 잘 익은 열매 껍질 | 이 약은 귤나무 <i>Citrus unshiu</i> Markovich 또는 <i>Citrus reticulata</i> Blanco (운향과 Rutaceae)의 잘 익은 열매껍질이다. | |
3 | 건비환 | 健脾丸 | 證治准繩類方第五冊 | 방제학 | 562-563 | 황련(주초) | 黃連(酒炒)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371 | Osterici seu Notopterygii Radix et Rhizoma | Ostericum Root | 강활 | 羌活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강활 <i>Ostericum koreanum</i> Maximowicz의 뿌리 또는 중국강활 (中國羌活) <i>Notopterygium incisum</i> Ting 또는 관엽강활 (寬葉羌活) <i>Notopterygium forbesii</i> Boissier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줄기 및 뿌리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400 | Platycodonis Radix | Platycodon Root | 길경 | 桔梗 | 길경근(桔梗根) | 뿌리 | 이 약은 도라지 <i>Platycodon grandiflorum</i> A. De Candolle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40 | Angelicae Gigantis Radix | Angelica Gigas Root | 당귀 | 當歸 | 뿌리 | 이 약은 참당귀 <i>Angelica gigas</i> Nakai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333 | Menthae Herba | Mentha Herb | 박하 | 薄荷 | 지상부(식물의 잎, 줄기, 가지 등의 지상부분) | 이 약은 박하 <i>Mentha arvensis</i> Linné var. <i>piperascens</i> Malinvaud ex Holmes (꿀풀과 Labiatae)의 지상부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461 | Saposhnikoviae Radix | Saposhnikovia Root | 방풍 | 防風 | 뿌리 | 이 약은 방풍 (防風) <i>Saposhnikovia divaricata</i> Schischkin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122 | Cimicifugae Rhizoma | Cimicifuga Rhizome | 승마 | 升麻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승마 <i>Cimicifuga heracleifolia</i> Komarov, 촛대승마 <i>Cimicifuga simplex</i> Wormskjord, 눈빛승마 <i>Cimicifuga dahurica</i> Maximowicz 또는 황새승마 <i>Cimicifuga foetida</i> Linné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의 뿌리줄기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92 | Bupleuri Radix | Bupleurum Root | 시호 | 柴胡 | 뿌리 | 이 약은 시호 <i>Bupleurum falcatum</i> Linné 또는 그 변종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208 | Forsythiae Fructus | Forsythia Fruit | 연교 | 連翹 | 열매 | 이 약은 의성개나리 <i>Forsythia viridissima</i> Lindley 또는 연교 (連翹) <i>Forsythia suspensa</i> Vahl (물푸레나무과 Oleaceae)의 열매이다. 열매가 막 익기 시작하여 녹색 빛이 남아있을 때 채취하여 쪄서 말린 것을 청교 (靑翹)라 하고, 완전히 익었을 때 채취하여 말린 것을 노교 (老翹)라 한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43 | Arctii Fructus | Arctium Fruit | 우방자 | 牛蒡子 | 열매 | 이 약은 우엉 <i>Arctium lappa</i> Linné (국화과 Composit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373 | Paeoniae Radix | Peony Root | 작약 | 芍藥 | 뿌리 | 이 약은 작약 <i>Paeonia lactiflora</i> Pallas (작약과 Paeoniaceae)의 뿌리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136 | Cnidii Rhizoma | Cnidium Rhizome | 천궁 | 川芎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천궁 <i>Cnidium officinale</i> Makino 또는 중국천궁 (中國川芎) <i>Ligusticum chuanxiong</i> Hort.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친 것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219 | Gardeniae Fructus | Gardenia Fruit | 치자 | 梔子 | 열매 | 이 약은 치자나무 <i>Gardenia jasminoides</i> Ellis (꼭두서니과 Rubiaceae)의 잘 익은 열매로서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치거나 찐 것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473 | Scrophulariae Radix | Scrophularia Root | 현삼 | 玄參 | 뿌리 | 이 약은 현삼 <i>Scrophularia buergeriana</i> Miquel 또는 중국현삼 (中國玄參) <i>Scrophularia ningpoensis</i> Hemsley (현삼과 Scrophulariaceae)의 뿌리이다. | |
19 | 연교패독산 | 連翹敗毒散 | 傷寒全生集 | 방제학 | 589 | 475 | Scutellariae Radix | Scutellaria Root | 황금 | 黃芩 | 뿌리 | 이 약은 속썩은풀 <i>Scutellaria baicalensis</i> Georgi (꿀풀과 Labiat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40 | Angelicae Gigantis Radix | Angelica Gigas Root | 당귀 | 當歸 | 뿌리 | 이 약은 참당귀 <i>Angelica gigas</i> Nakai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543 | Viticis Fructus | Vitex Fruit | 만형자 | 蔓荊子 | 열매 | 이 약은 순비기나무 <i>Vitex rotundifolia</i> Linné fil. 또는 만형 (蔓荊) <i>Vitex trifolia</i> Linné (마편초과 Verben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생지황(주초) | 生地黃(酒炒)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지모(주초) | 知母(酒炒)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136 | Cnidii Rhizoma | Cnidium Rhizome | 천궁 | 川芎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천궁 <i>Cnidium officinale</i> Makino 또는 중국천궁 (中國川芎) <i>Ligusticum chuanxiong</i> Hort.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친 것이다.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치자(초) | 梔子(炒)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황금(주초) | 黃芩(酒炒)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황련(주초) | 黃連(酒炒) | ||||||
1283 | 가미사물탕 | 加味四物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170 | 황백(주초) | 黃柏(酒炒) | ||||||
1444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56 | 243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 Licorice | 감초 | 甘草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감초 <i>Glycyrrhiza uralensis</i> Fischer, 광과감초 (光果甘草) <i>Glycyrrhiza glabra</i> Linné 또는 창과감초 (脹果甘草) <i>Glycyrrhiza inflata</i> Batal. (콩과 Leguminos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1444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56 | 390 | Pinelliae Tuber | Pinellia Tuber | 반하 | 半夏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반하 <i>Pinellia ternata</i> Breitenbach (천남성과 Araceae)의 덩이줄기로서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것이다. | |
1444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56 | 92 | Bupleuri Radix | Bupleurum Root | 시호 | 柴胡 | 뿌리 | 이 약은 시호 <i>Bupleurum falcatum</i> Linné 또는 그 변종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1444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56 | 231 | Ginseng Radix | Ginseng | 인삼 | 人蔘 | 뿌리 | 이 약은 인삼 <i>Panax ginseng</i>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이다. | |
1444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東醫寶鑑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56 | 475 | Scutellariae Radix | Scutellaria Root | 황금 | 黃芩 | 뿌리 | 이 약은 속썩은풀 <i>Scutellaria baicalensis</i> Georgi (꿀풀과 Labiat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243 |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 Licorice | 감초 | 甘草 | 뿌리,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감초 <i>Glycyrrhiza uralensis</i> Fischer, 광과감초 (光果甘草) <i>Glycyrrhiza glabra</i> Linné 또는 창과감초 (脹果甘草) <i>Glycyrrhiza inflata</i> Batal. (콩과 Leguminosae)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549 | Zizyphi Fructus | Jujube | 대조 | 大棗 | 대추(大棗) | 열매 | 이 약은 대추나무 <i>Zizyphus jujuba</i> Miller var. <i>inermis</i> Rehder 또는 보은대추나무 <i>Zizyphus jujuba</i> Miller var. <i>hoonensis</i> T. B. Lee (갈매나무과 Rhamn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390 | Pinelliae Tuber | Pinellia Tuber | 반하 | 半夏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반하 <i>Pinellia ternata</i> Breitenbach (천남성과 Araceae)의 덩이줄기로서 주피를 완전히 제거한 것이다. |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548 | Zingiberis Rhizoma Recens | Raw Ginger | 생강 | 生薑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생강 <i>Zingiber officinale</i> Roscoe (생강과 Zingiberaceae)의 신선한 뿌리줄기이다. |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92 | Bupleuri Radix | Bupleurum Root | 시호 | 柴胡 | 뿌리 | 이 약은 시호 <i>Bupleurum falcatum</i> Linné 또는 그 변종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231 | Ginseng Radix | Ginseng | 인삼 | 人蔘 | 뿌리 | 이 약은 인삼 <i>Panax ginseng</i>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이다. | |
1445 | 소시호탕 | 小柴胡湯 | 方藥合編 | 동의방제와처방해설 | 620 | 475 | Scutellariae Radix | Scutellaria Root | 황금 | 黃芩 | 뿌리 | 이 약은 속썩은풀 <i>Scutellaria baicalensis</i> Georgi (꿀풀과 Labiat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345 | Moutan Radicis Cortex | Moutan Root Bark | 목단피 | 牡丹皮 | 뿌리껍질 | 이 약은 목단 <i>Paeonia suffruticosa</i> Andrews (작약과 Paeoniaceae)의 뿌리껍질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413 | Poria Sclerotium | Poria | 복령 | 茯苓 | 적복령(赤茯苓), 백복령(白茯苓) | 균핵(좋지 않은 환경에서 견디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균사가 식물의 꽃, 열매, 뿌리, 때로는 유기물에 촘촘히 모여 만든 딱딱한 덩어리. 이렇게 오랫동안 있으면 휴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이 약은 복령 (茯苓) <i>Poria cocos</i> Wolf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144 | Corni Fructus | Cornus Fruit | 산수유 | 山茱萸 | 열매 | 이 약은 산수유나무 <i>Cornus officinalis</i> Siebold et Zuccarini (층층나무과 Cornaceae)의 잘 익은 열매로서 씨를 제거한 것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171 | Dioscoreae Rhizoma | Dioscorea Rhizome | 산약 | 山藥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마 <i>Dioscorea batatas</i> Decaisne 또는 참마 <i>Dioscorea japonica</i> Thunberg (마과 Dioscoreaceae)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 (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435 | Rehmanniae Radix Preparata | Prepared Rehmannia Root | 숙지황 | 熟地黃 | 뿌리 | 이 약은 지황 <i>Rehmannia glutinosa</i> Liboschitz ex Steudel (현삼과 Scrophulariaceae)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것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467 | Schisandrae Fructus | Schisandra Fruit | 오미자 | 五味子 | 열매 | 이 약은 오미자 <i>Schisandra chinensis</i> Baillon (오미자과 Schisandr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
4986 | 신기환 | 腎氣丸 | 폐계내과학 | 570 | 20 | Alismatis Rhizoma | Alisma Rhizome | 택사 | 澤瀉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질경이택사 <i>Alisma orientale</i> Juzepzuk (택사과 Alismataceae)의 덩이줄기로서 잔뿌리 및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5032 | 이진탕 | 二陳湯 | 폐계내과학 | 530 | 감초(자) | 甘草(炙) | |||||||
5032 | 이진탕 | 二陳湯 | 폐계내과학 | 530 | 반하(제) | 半夏(製) | |||||||
5032 | 이진탕 | 二陳湯 | 폐계내과학 | 530 | 413 | Poria Sclerotium | Poria | 복령 | 茯苓 | 적복령(赤茯苓), 백복령(白茯苓) | 균핵(좋지 않은 환경에서 견디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균사가 식물의 꽃, 열매, 뿌리, 때로는 유기물에 촘촘히 모여 만든 딱딱한 덩어리. 이렇게 오랫동안 있으면 휴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이 약은 복령 (茯苓) <i>Poria cocos</i> Wolf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 |
5032 | 이진탕 | 二陳湯 | 폐계내과학 | 530 | 130 | Citri Unshius Pericarpium | Citrus Unshiu Peel | 진피 | 陳皮 | 잘 익은 열매 껍질 | 이 약은 귤나무 <i>Citrus unshiu</i> Markovich 또는 <i>Citrus reticulata</i> Blanco (운향과 Rutaceae)의 잘 익은 열매껍질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345 | Moutan Radicis Cortex | Moutan Root Bark | 목단피 | 牡丹皮 | 뿌리껍질 | 이 약은 목단 <i>Paeonia suffruticosa</i> Andrews (작약과 Paeoniaceae)의 뿌리껍질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413 | Poria Sclerotium | Poria | 복령 | 茯苓 | 적복령(赤茯苓), 백복령(白茯苓) | 균핵(좋지 않은 환경에서 견디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균사가 식물의 꽃, 열매, 뿌리, 때로는 유기물에 촘촘히 모여 만든 딱딱한 덩어리. 이렇게 오랫동안 있으면 휴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이 약은 복령 (茯苓) <i>Poria cocos</i> Wolf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부자(포) | 附子(炮)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144 | Corni Fructus | Cornus Fruit | 산수유 | 山茱萸 | 열매 | 이 약은 산수유나무 <i>Cornus officinalis</i> Siebold et Zuccarini (층층나무과 Cornaceae)의 잘 익은 열매로서 씨를 제거한 것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171 | Dioscoreae Rhizoma | Dioscorea Rhizome | 산약 | 山藥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마 <i>Dioscorea batatas</i> Decaisne 또는 참마 <i>Dioscorea japonica</i> Thunberg (마과 Dioscoreaceae)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 (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435 | Rehmanniae Radix Preparata | Prepared Rehmannia Root | 숙지황 | 熟地黃 | 뿌리 | 이 약은 지황 <i>Rehmannia glutinosa</i> Liboschitz ex Steudel (현삼과 Scrophulariaceae)의 뿌리를 포제가공한 것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124 | Cinnamomi Cortex | Cinnamon Bark | 육계 | 肉桂 | 계피(桂皮) | 줄기껍질: 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육계 (肉桂) <i>Cinnamomum cassia</i> Presl (녹나무과 Lauraceae)의 줄기껍질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약간 제거한 것이다. | |
5039 | 팔미환 | 八味丸 | 폐계내과학 | 531 | 20 | Alismatis Rhizoma | Alisma Rhizome | 택사 | 澤瀉 | 덩이줄기(식물의 땅속에 있는 줄기(땅속줄기) 끝이 양분을 저장하면서 크고 뚱뚱해진 것을 말한다.) | 이 약은 질경이택사 <i>Alisma orientale</i> Juzepzuk (택사과 Alismataceae)의 덩이줄기로서 잔뿌리 및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감초(초) | 甘草(炒)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건강(포) | 乾薑(炮)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67 | Aurum | Aurum Foil | 금박 | 金箔 | 금박지(金箔紙) | 이 약은 원소광물 자연금을 압착하여 만든 박편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400 | Platycodonis Radix | Platycodon Root | 길경 | 桔梗 | 길경근(桔梗根) | 뿌리 | 이 약은 도라지 <i>Platycodon grandiflorum</i> A. De Candolle (초롱꽃과 Campanul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40 | Angelicae Gigantis Radix | Angelica Gigas Root | 당귀 | 當歸 | 뿌리 | 이 약은 참당귀 <i>Angelica gigas</i> Nakai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대두황(권초) | 大豆黃(卷炒)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549 | Zizyphi Fructus | Jujube | 대조 | 大棗 | 대추(大棗) | 열매 | 이 약은 대추나무 <i>Zizyphus jujuba</i> Miller var. <i>inermis</i> Rehder 또는 보은대추나무 <i>Zizyphus jujuba</i> Miller var. <i>hoonensis</i> T. B. Lee (갈매나무과 Rhamnaceae)의 잘 익은 열매이다.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296 | Liriopis seu Ophiopogonis Tuber | Liriope Tuber | 맥문동 | 麥門冬 | 뿌리의 팽대부(膨大部), 덩이뿌리(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맥문동 <i>Liriope platyphylla</i> Wang et Tang 또는 소엽맥문동 <i>Ophiopogon japonicus</i> Ker-Gawler (백합과 Liliaceae)의 뿌리의 팽대부 (膨大部)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461 | Saposhnikoviae Radix | Saposhnikovia Root | 방풍 | 防風 | 뿌리 | 이 약은 방풍 (防風) <i>Saposhnikovia divaricata</i> Schischkin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34 | Ampelopsis Radix | 백렴 | 白蘞 | 덩이뿌리: 식물의 뿌리가 양분을 저장하기 위해 크고 뚱뚱해진 것으로, 녹말 등이 저장되어 있으며 다른 말로 괴근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가회톱 <i>Ampelopsis japonica</i> Makino (포도과 Vitaceae)의 덩이뿌리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63 | Atractylodis Rhizoma Alba | Atractylodes Rhizome White | 백출 | 白朮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삽주 <i>Atractylodes japonica</i> Koidzumi 또는 백출 (白朮) <i>Atractylodes macrocephala</i> Koidzumi (국화과 Compositae)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413 | Poria Sclerotium | Poria | 복령 | 茯苓 | 적복령(赤茯苓), 백복령(白茯苓) | 균핵(좋지 않은 환경에서 견디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균사가 식물의 꽃, 열매, 뿌리, 때로는 유기물에 촘촘히 모여 만든 딱딱한 덩어리. 이렇게 오랫동안 있으면 휴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이 약은 복령 (茯苓) <i>Poria cocos</i> Wolf (구멍장이버섯과 Polyporaceae)의 균핵이다.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344 | Moschus | Musk | 사향 | 麝香 |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 사향노루 수컷의 생식샘 부근에 있는 달걀 모양의 분비샘에서 나오는 분비물 | 이 약은 난쟁이사향노루 <i>Moschus berezovskii</i> Flerove, 산사향노루 <i>Moschus chrysogaster</i> Hodgson 또는 사향노루 <i>Moschus moschiferus</i> Linné (사향노루과 Moschidae) 수컷의 사향선 분비물로써 그 내용물을 꺼내어 말린 것을 가루사향이라 하고, 주머니 모양의 사낭(麝囊)을 그대로 잘라내어 말린 것을 주머니사향이라고 한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171 | Dioscoreae Rhizoma | Dioscorea Rhizome | 산약 | 山藥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마 <i>Dioscorea batatas</i> Decaisne 또는 참마 <i>Dioscorea japonica</i> Thunberg (마과 Dioscoreaceae)의 주피를 제거한 뿌리줄기 (담근체)로서 그대로 또는 쪄서 말린 것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서각 | 犀角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92 | Bupleuri Radix | Bupleurum Root | 시호 | 柴胡 | 뿌리 | 이 약은 시호 <i>Bupleurum falcatum</i> Linné 또는 그 변종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신국(초) | 神麯(炒)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아교(초) | 阿膠(炒)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222 | Gazellae seu Saigae Cornu | Gazelle Horn, Antelope | 영양각 | 羚羊角 | 뿔 | 이 약은 영양 <i>Gazella subgutturosa</i> (Guldenstaedt) 또는 고비영양(高鼻羚羊) <i>Saiga tatarica</i> Linné (소과 Bovidae)의 뿔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82 | Bomeolum | Borneol | 용뇌 | 龍腦 | 빙편(氷片) | 백색의 결정체 | 이 약은 용뇌향(龍腦香) <i>Dryobalanops aromatica</i> Gaertner (용뇌향과 Dipterocarpaceae)의 수간창구에서 흘러 나온 수지 또는 수간과 가지를 썰어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백색의 결정체이다.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83 | Bovis Calculus | Cattle Gallstone | 우황 | 牛黃 | 담낭 중에 생긴 결석 | 이 약은 소 <i>Bos taurus</i> Linné var. <i>domesticus</i> Gmelin (소과 Bovidae)의 담낭 중에 생긴 결석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웅황 | 雄黃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124 | Cinnamomi Cortex | Cinnamon Bark | 육계 | 肉桂 | 계피(桂皮) | 줄기껍질: 줄기의 바깥에 있는 죽은 조직으로 나무껍질이라고도 한다. | 이 약은 육계 (肉桂) <i>Cinnamomum cassia</i> Presl (녹나무과 Lauraceae)의 줄기껍질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약간 제거한 것이다.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231 | Ginseng Radix | Ginseng | 인삼 | 人蔘 | 뿌리 | 이 약은 인삼 <i>Panax ginseng</i>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가는 뿌리와 코르크층을 제거한 것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373 | Paeoniae Radix | Peony Root | 작약 | 芍藥 | 뿌리 | 이 약은 작약 <i>Paeonia lactiflora</i> Pallas (작약과 Paeoniaceae)의 뿌리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주사(수비) | 朱砂(水飛)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136 | Cnidii Rhizoma | Cnidium Rhizome | 천궁 | 川芎 | 뿌리줄기(땅속으로 뻗어있는 뿌리모양의 줄기로서 줄기의 마디에서 잔뿌리를 낸다.) | 이 약은 천궁 <i>Cnidium officinale</i> Makino 또는 중국천궁 (中國川芎) <i>Ligusticum chuanxiong</i> Hort.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끓는 물에 데친 것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포황(초) | 蒲黃(炒)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50 | Armeniacae Semen | Apricot Kernel | 행인 | 杏仁 | 씨 | 이 약은 살구나무 <i>Prunus armeniaca</i> Linné var. <i>ansu</i> Maximowicz, 개살구나무 <i>Prunus mandshurica</i> Koehne var. <i>glabra</i> Nakai, 시베리아살구 <i>Prunus sibirica</i> Linné 또는 아르메니아살구 <i>Prunus armeniaca</i> Linné (장미과 Rosaceae)의 잘 익은 씨이다. | |
6151 | 우황청심원 | 牛黃淸心元 | 東醫寶鑑 | 방약합편 | 186 | 475 | Scutellariae Radix | Scutellaria Root | 황금 | 黃芩 | 뿌리 | 이 약은 속썩은풀 <i>Scutellaria baicalensis</i> Georgi (꿀풀과 Labiatae)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
데이터 샘플
판매제공처 홈페이지 | 판매 담당자 | 연락처 | 이메일 |
---|---|---|---|
www.kiom.re.kr | 김상균 | 042-868-9526 | skkim@kiom.re.kr |
라이선스 | 권한 | 접근권한 |
---|---|---|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 Copyright 2020. KIOM. All rights reserved. | public |
품질측정검사 | 품질측정기간 | 20211101~20211130 | |
---|---|---|---|
품질측정기관 | 한국한의학연구원 | 품질측정연락정보 | 042-868-9526 |
품질측정결과 | 정상 | 품질측정내용 | 무결성, 유효성, 정확성 |
제약 및 취소/환불 규정 안내 |
---|
데이터 상품은 디지털화된 상품의 특성상 반품, 취소, 환불 되지 않으나 데이터의 심각한 오류 또는, 상이한 데이터인 경우 구매자가 요구 시 환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연관 데이터 상품
제공처의 다른 데이터 상품